- 영문명
- The Effects of Misspecification and Hierarchical Structure of Attributes in Q-Matrix on the Quality Level in Estimating Cognitive Diagnostic Model
- 발행기관
- 한국교육평가학회
- 저자명
- 양희원 이규민(Guemin Lee) 강상진
- 간행물 정보
- 『교육평가연구』제32권 제1호, 53~79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2.28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인지진단모형을 적용함에 있어 사용하는 Q행렬이 오지정되었을 때, 그리고 인지요소가 위계구조를 가지고 있을 때, 인지진단모형 추정 양호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탐색하였다. Q행렬에서 오지정된 요소를 포함하는 문항의 비율을 0%․10%․20%․30%, 오지정 종류는 과잉․과소․혼합, 인지요소의 위계구조는 선형․확산형․수렴형을 고려하였다. 인지진단모형 추정 양호도를 확인하기 위해 모의자료를 생성하여 연구를 수행하였고, 모형적합도와 인지요소패턴 분류정확일치도를 산출하였다. 연구 결과, Q행렬에서 오지정된 요소를 포함하는 문항의 비율이 높아질수록 모형적합도는 나빠지고, 인지요소패턴 분류정확도는 감소되었다. 자료의 인지요소 위계구조를 반영하여 분석한 경우에 비해 반영하지 않고 분석한 경우, 인지진단모형 적합도에서는 뚜렷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지만, 인지요소패턴 분류정확일치도는 감소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quality level in the estimation of cognitive diagnostic model when the Q-matrix was misspecified and/or the structure of attributes was hierarchical. The simulation data were generated under several conditions; the proportion of items containing missspecified attributes, the types of misspecifications, hierarchical and non-hierarchical structures of attributes. The effects of using different number of attributes and different number of examinees were also examined. The hierarchical structures of attributes we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linear/divergent/convergent). The quality levels in the estimation of the cognitive diagnostic models were investigated via model data fit and the exact agreement rate of classification of attribute patterns. Based upon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higher the proportion of items containing misspecified attributes in Q-matrix, the worse the model data fit and the less exact agreement rate of classification of attribute patterns. Also, model with reflecting hierarchical structures of attributes would not produce better fit than that without reflecting hierarchical structure of attributes. The exact agreement rate of classification seemed decreased in the case without reflecting hierarchical structure of attributes compared to the case with reflecting hierarchical structure of attribute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육평가연구 게재 증명서
- 교사별 과정 중심 평가 도입시 필요 사항, 우려 사항, 기대가 도입 의견에 미치는 효과
- Bifactor 모형의 잠재평균 분석에 대한 부분 절편동일성 수준의 영향
- Q행렬 오지정 및 인지요소 위계구조가 인지진단모형 추정 양호도에 미치는 영향
- 문항특성곡선의 비대칭성이 문항정보함수 추정에 미치는 영향: 모의실험을 통한 RH, 2PL, 3PL IRT 모형의 비교를 중심으로
- 성장혼합모형을 적용한 진로성숙도 변화에 대한 종단적 연구: 후기 청소년기부터 초기 성인기까지
- 「교육평가」 수업 사례 분석
- MIRT 이요인(bi-factor) 3모수 모형을 위한 공통-문항 척도연계 방법
- 다양한 분할 잠재성장모형 비교
- 인지진단이론과 컴퓨터화 검사를 이용한 형성평가 피드백이 수학 학업성취도와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 성장혼합모형을 활용한 청소년의 휴대전화 의존도 변화 유형과 특성 분석
-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표집자료 가중치 적용 사례
- 수행평가 계획서에 나타난 과제와 채점기준표의 적절성 분석 -D광역시 중학교 3학년 국어과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