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농지연금 수급액 차이가 노후생활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57
- 영문명
- EEffects of the Amount of Impartment in Agricultural Welfare on Aging Life
- 발행기관
- 대한부동산학회
- 저자명
- 정기선(Jung, Ki-Sun) 이춘원(Lee, Choon-won)
- 간행물 정보
- 『대한부동산학회지』제46호, 305~320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개발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2.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고령화는 저 출산과 기대 수명의 증가로 빠르게 진행되고 있으나 빈약한 공적 연금제도 등으로 인해 노인복지 문제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등장하고 있다. 특히 상대적으로 고령화 정도가 심각한 농촌에서 노인복지 문제는 빠른 속도로 악화되고 있다. 정부는 령자의 안정적 소득 향상을 위해 농지를 담보로 연금을 지급하는 농지연금 제도를 도입중에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연금 가입자를 대상으로 농지연금 수급액 차이가 노후생활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 지역별 차이를 분석하고 노후불안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수급액의 차이에 따라 노후불안과 삶의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수급액이 많을수록 노후불안이 낮아지고 삶의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한 결과 지역별 수급액의 차이는 노후불안과 삶의 만족도에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고 지역별 만족도는 유의미 하지 않
은 것으로 나타났다. 농지연금 수급액에 대한 만족도는 현재 낮은 편이며 생활이 안정되지 못하다고 느끼고 있어 향후 수급액을 높여 만족도를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e aging population is rapidly progressing due to the low birth rate and increased life expectancy, but the poor public pension system and other poor pension schemes are creating serious social problems for the elderly. The welfare problem for the elderly is worsening rapidly, especially in rural areas where the relative age level of aging is serious. The government is introducing a farmland pension system that provides pension funds from farmland to improve stable income for the elderly.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 of differences in the payments of agricultural pensions on the elderly on regional differences and on the uncertainty of retirement and satisfaction with life. As a result, the higher the supply, the lower the age anxiety and the higher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life, the more important it is, the more satisfactory it is that the life is. Regression analysis to identify their differences showed that the difference in the supply by region was significant in age anxiety and satisfaction with life, and that by region was not significant. As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supply of agricultural land pension is currently low and one feels that one s life is unstabl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satisfaction level by raising the supply amount later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범위 및 목적
2. 연구방법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고찰
1. 농지연금의 이해
2. 노후불안과 노후생활 만족
3.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방법
1. 분석자료 및 분석대상
2. 변수의 선정 및 분석 방법
Ⅳ. 분석결과
1. 인구사회학적 특성
2. 수급액 차이에 따른 차이분석
3. 수급액 차이에 따른 회귀분석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은퇴계층의 주택다운사이징과 점유유형 선택에 따른 수익성에 대한 연구
- 대학생의 행복주택 입주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김천시 사례를 중심으로
- 시설분석을 통한 고령친화형 유료노인복지주택 개발동향에 관한 연구
- 기업형 임대주택 계약자의 수요특성에 관한 연구
- 투자자심리지수를 활용한 MBS 조기상환위험의 영향변수에 관한 연구
- 모형들의 비교에 의한 수도권 아파트시장의 기대가격상승률의 분석에 관한 연구
- 부동산경매절차에서 유치권의 불확실성 재해석
- 부동산개발에 대한 크라우드펀딩 제도개선 방안 연구
- 주택시장의 기대가격상승률과 물가상승률에 관한 연구
- 수정M-W모형을 이용한 가구의 장기주택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주거환경특성 분석
- 농지연금 수급액 차이가 노후생활에 미치는 영향
- 개업공인중개사 생존서비스품질이 경쟁력제고와 서비스개선을 통한 개업공인중개사 발전에 미치는 영향
- 기초생활인프라 국가최저기준 충족수준에 관한 연구
- 대한부동산학회지 제46호 목차
- 부동산 분양 광고에서 소비자 보호를 위한 연구
- 주택임대차 분쟁조정 성립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공동주택 리모델링에 대한 주민의식 연구
- 일본의 부동산 버블에 대한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BEST
- 인구감소 지역의 지방소멸 대응 전략 방안 연구
-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인구감소·지방소멸 연구 동향 메타분석 및 연구 방향
- 부동산, 가상자산 및 주식시장 간의 가격 변동성 전이효과 분석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NEW
- 부동산산업연구 제8권 제1호 목차
- 미국 통화정책 변화가 국내 부동산 시장에 미치는 영향 - 수도권 아파트 가격을 중심으로
- 지역특성 기반 민관협력적 다층적 접근을 통한 소상공인 지원 정책 특성 연구 - FGI를 활용한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