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주택시장의 기대가격상승률과 물가상승률에 관한 연구
이용수 163
- 영문명
- A Study on the Expectation and Inflation Rate of Housing Market - Focused on the Seoul Metropolitan Apartment Market-
- 발행기관
- 대한부동산학회
- 저자명
- 김승욱(Kim, Seung Wook)
- 간행물 정보
- 『대한부동산학회지』제46호, 107~123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개발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2.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기대가격상승률과 물가상승률의 관계에 대해서 연구한 논문으로서 주택가격이 장기적으로 물가상승수준에 수렴한다는 명제나 인플레이션 헷징(inflation hedging)의 관점에서, 주택가격 상승과 물가상승과의 관련성에 대해, 이론적으로는 도
출되는 가정이 현실에서 실제로 어떻게 적용되는 지를 검토하기 위해서, 수도권아파트가격을 대상으로 VAR모형의 충격반응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2003년부터 2013년까지 물가상승률이 서울시 아파트가격에 부(-)의 영향을 주었다는 저자의 2014년도의 선행연구의 연구결과와는 달리 2008년부터 2017년까지의 수도권 아파트가격을 대상으로 한 본 연구의 VAR모형의 충격반응분석에서는 완벽하지는 않지만 물가상승률이 전반적으로 정(+)의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의 차이가 발생한 것에 대한 분석과 더 면밀한 검토가 필요해 보인다.
영문 초록
I made a basic model in which the theoretical house price was determined in a general equilibrium.
And I differentiated it and made a hypothesis about the impact of the determinants of house prices.
In order to test if the result of my prior research that the change of inflation rate is a negative(-) effect on Seoul apartment house price will be repeated, I made a new VAR model and verified the hypothesis by means of the impulse response function of it with updated time series data and modified the structure of my prior research a little.
The result of new Study has shown that the change of inflation rate and house price change were a positive(+) effect on Seoul metropolitan apartment prices and the change of interest rates was a negative(-) effect on them.
Most of all, the movements of inflation rate was consistent with the hypothesis of my new study which was derived theoretically this time.
This results of my new study(2017)is different from those of the prior study(2014) I studied before.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ause of the result, the additional reaserch should be needed.
목차
Ⅰ. 서론
Ⅱ. 주택가격의 결정에 대한 이론적 고찰
1. 일반균형하의 주택가격 결정모형
2. 기대가격상승률과 물가상승률간의 관계
Ⅲ. 선행연구 분석
1. 변수들 간의 관계 및 연구가설의 설정
2. 시계열모형의 설정 및 분석
3. 실증결과의 분석
Ⅳ. 후속연구
1. 선행연구와의 모형설정의 변화
2. 변수들 간의 관계 및 연구가설의 설정
3. 변수의 구성
4. 시계열모형의 설정 및 분석결과
5. 선행연구와 후속연구의 결과 비교
V.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은퇴계층의 주택다운사이징과 점유유형 선택에 따른 수익성에 대한 연구
- 대학생의 행복주택 입주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김천시 사례를 중심으로
- 시설분석을 통한 고령친화형 유료노인복지주택 개발동향에 관한 연구
- 기업형 임대주택 계약자의 수요특성에 관한 연구
- 투자자심리지수를 활용한 MBS 조기상환위험의 영향변수에 관한 연구
- 모형들의 비교에 의한 수도권 아파트시장의 기대가격상승률의 분석에 관한 연구
- 부동산경매절차에서 유치권의 불확실성 재해석
- 부동산개발에 대한 크라우드펀딩 제도개선 방안 연구
- 주택시장의 기대가격상승률과 물가상승률에 관한 연구
- 수정M-W모형을 이용한 가구의 장기주택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주거환경특성 분석
- 농지연금 수급액 차이가 노후생활에 미치는 영향
- 개업공인중개사 생존서비스품질이 경쟁력제고와 서비스개선을 통한 개업공인중개사 발전에 미치는 영향
- 기초생활인프라 국가최저기준 충족수준에 관한 연구
- 대한부동산학회지 제46호 목차
- 부동산 분양 광고에서 소비자 보호를 위한 연구
- 주택임대차 분쟁조정 성립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공동주택 리모델링에 대한 주민의식 연구
- 일본의 부동산 버블에 대한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BEST
- 인구감소 지역의 지방소멸 대응 전략 방안 연구
-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인구감소·지방소멸 연구 동향 메타분석 및 연구 방향
- 부동산, 가상자산 및 주식시장 간의 가격 변동성 전이효과 분석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NEW
- 부동산산업연구 제8권 제1호 목차
- 미국 통화정책 변화가 국내 부동산 시장에 미치는 영향 - 수도권 아파트 가격을 중심으로
- 지역특성 기반 민관협력적 다층적 접근을 통한 소상공인 지원 정책 특성 연구 - FGI를 활용한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