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수정M-W모형을 이용한 가구의 장기주택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주거환경특성 분석
이용수 313
- 영문명
- Analyzing Residential Features affecting Long-Term Housing Demand of Household using Modified Mankiw-Weil Model
- 발행기관
- 대한부동산학회
- 저자명
- 서원석(Seo, Wonseok) 강민성(Kang, Min Sung)
- 간행물 정보
- 『대한부동산학회지』제46호, 5~23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개발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2.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주택수요 예측에 있어 주거환경에 대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연구가 미비했던 한계를 개선하기 위해 수정M-W모형을 이용해 가구의 장기주택수요를 추정하고, 주택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주거환경 특성을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가구주의 연령이 높아질수록 주택수요가 증가하는 특성이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주거환경특성과 관련해서는 현재의 주택에 대한 가치가 장기주택수요를 창출하는 중요한 원인이 될수 있으며, 본 연구가 공동체적 의미가 강한 주택유형인 아파트를 대상으로 했다는 점에서 이웃과의 관계가 주택수요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또한 교통과 물리적 쾌적성도 장기주택수요와 관련한 중요한 주거환경 요인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실수요자가 보다 나은 환경의 주택에 거주할수 있도록 하는 주택 및 주거정책이 보다 강력하고 포괄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
다는 점과 주택정책이 외부 주거환경 보다 수요자 맞춤형 아파트 건축기준 마련 등 내부 주거환경의 개선에 보다 높은 관심을 둘 필요가 있다는 점을 함께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residential environment features influencing the long-term housing demand of household using 2014 korea housing survey. The modified mankiw-weil model and multiple regression model are used for the empirical analysis. As a result, this study finds that the higher the age of the household head, the greater the housing demand, and in particular, the biggest housing demand shows in between 65 and 69 years. Moreover, in terms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features, traffic accessibility, parking convenience, safety, noise, cleaning, neighborhood relationship, and satisfaction of current housing have significant impacts on the long-term housing demand. Among them, the high satisfaction of current housing is found to be the most important feature in the demand. This study also finds that neighborhood relationship can be significantly important feature to increase
long-term housing demand. It is because the most popular residential form in Korea is an apartment that keeps close relationship with the neighborhoods between the walls. These results confirm that the housing policies which allow end users to reside in a better environment need to be more robust and comprehensive.
Moreover, the housing policy should be also more concerned with the internal housing environments than the external housing environments.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검토
Ⅲ. 분석방법 및 변수
1. 분석방법
2. 변수구성
3. 기초통계 분석결과
Ⅳ. 실증분석
1. 항상소득 추정결과
2. 가구의 장기주택수요 추정결과
3. 주거환경특성에 따른 장기주택수요 영향분석
Ⅴ. 결론 및 시사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은퇴계층의 주택다운사이징과 점유유형 선택에 따른 수익성에 대한 연구
- 대학생의 행복주택 입주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김천시 사례를 중심으로
- 시설분석을 통한 고령친화형 유료노인복지주택 개발동향에 관한 연구
- 기업형 임대주택 계약자의 수요특성에 관한 연구
- 투자자심리지수를 활용한 MBS 조기상환위험의 영향변수에 관한 연구
- 모형들의 비교에 의한 수도권 아파트시장의 기대가격상승률의 분석에 관한 연구
- 부동산경매절차에서 유치권의 불확실성 재해석
- 부동산개발에 대한 크라우드펀딩 제도개선 방안 연구
- 주택시장의 기대가격상승률과 물가상승률에 관한 연구
- 수정M-W모형을 이용한 가구의 장기주택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주거환경특성 분석
- 농지연금 수급액 차이가 노후생활에 미치는 영향
- 개업공인중개사 생존서비스품질이 경쟁력제고와 서비스개선을 통한 개업공인중개사 발전에 미치는 영향
- 기초생활인프라 국가최저기준 충족수준에 관한 연구
- 대한부동산학회지 제46호 목차
- 부동산 분양 광고에서 소비자 보호를 위한 연구
- 주택임대차 분쟁조정 성립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공동주택 리모델링에 대한 주민의식 연구
- 일본의 부동산 버블에 대한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BEST
- 인구감소 지역의 지방소멸 대응 전략 방안 연구
-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인구감소·지방소멸 연구 동향 메타분석 및 연구 방향
- 부동산, 가상자산 및 주식시장 간의 가격 변동성 전이효과 분석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NEW
- 부동산산업연구 제8권 제1호 목차
- 미국 통화정책 변화가 국내 부동산 시장에 미치는 영향 - 수도권 아파트 가격을 중심으로
- 지역특성 기반 민관협력적 다층적 접근을 통한 소상공인 지원 정책 특성 연구 - FGI를 활용한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