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생의 행복주택 입주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김천시 사례를 중심으로
이용수 191
- 영문명
- University Student’s Determinants of Happy-House Choice : Focused on Gimcheon
- 발행기관
- 대한부동산학회
- 저자명
- 권오규(Kwon, O Kyu) 강은택(Kang, Eun Taek)
- 간행물 정보
- 『대한부동산학회지』제46호, 161~176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개발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2.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청년층의 높은 주거비용과 열악한 주거환경을 개선하기 위하여 행복주택공급이 진행되고 있다. 이와 관련된 논의에서는 행복주택의 필요성, 행복주택 공급의 경제성 개선, 행복주택 공급과정에서의 주민갈등 해소방안 등에 관한 논의가 주를 이루어 왔다. 이들 논의에서는 청년층의 지역에 대한인식, 정책인지도 등의 요인이 행복주택 입주의사에 미치는 영향은 중요하게 다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김천시를 사례로 중소도시에서의 행복주택 입주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행복주택사업에 대한 인지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지역의 주거환경 및 친밀도 등의 변수는 입주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청년층의 행복주택 입주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논의를 통하여 행복주택의 최우선 과제가 단순한 공급우선이 아닌 청년층의 주거환경 만족 증진에도 기여할수 있기를 바란다.
영문 초록
Happy-House is being provided to improve the living conditions of young people. Previous literature of Happy-House is focused on politic necessity, to improving economical condition, resolving conflicts of esidents.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determinants of major demand such Universty students` decision of moving into the Happy-House.
This paper investigate the determinants of University students` Happy-House Choice, case study of gimcheon. The perception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n the region has a positive efect, but the recognition of the policy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increase in Supply is an important issue, bu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residential environment preferred by major demand such University students.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검토
Ⅲ. 분석자료
1. 분석지역
2. 중소도시 대학생의 행복주택 인지도 및 입주의사
Ⅳ. 실증분석
1. 분석모형 및 기초통계 분석
2. 대학생의 행복주택 입주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은퇴계층의 주택다운사이징과 점유유형 선택에 따른 수익성에 대한 연구
- 대학생의 행복주택 입주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김천시 사례를 중심으로
- 시설분석을 통한 고령친화형 유료노인복지주택 개발동향에 관한 연구
- 기업형 임대주택 계약자의 수요특성에 관한 연구
- 투자자심리지수를 활용한 MBS 조기상환위험의 영향변수에 관한 연구
- 모형들의 비교에 의한 수도권 아파트시장의 기대가격상승률의 분석에 관한 연구
- 부동산경매절차에서 유치권의 불확실성 재해석
- 부동산개발에 대한 크라우드펀딩 제도개선 방안 연구
- 주택시장의 기대가격상승률과 물가상승률에 관한 연구
- 수정M-W모형을 이용한 가구의 장기주택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주거환경특성 분석
- 농지연금 수급액 차이가 노후생활에 미치는 영향
- 개업공인중개사 생존서비스품질이 경쟁력제고와 서비스개선을 통한 개업공인중개사 발전에 미치는 영향
- 기초생활인프라 국가최저기준 충족수준에 관한 연구
- 대한부동산학회지 제46호 목차
- 부동산 분양 광고에서 소비자 보호를 위한 연구
- 주택임대차 분쟁조정 성립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공동주택 리모델링에 대한 주민의식 연구
- 일본의 부동산 버블에 대한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BEST
- 인구감소 지역의 지방소멸 대응 전략 방안 연구
-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인구감소·지방소멸 연구 동향 메타분석 및 연구 방향
- 부동산, 가상자산 및 주식시장 간의 가격 변동성 전이효과 분석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NEW
- 부동산산업연구 제8권 제1호 목차
- 미국 통화정책 변화가 국내 부동산 시장에 미치는 영향 - 수도권 아파트 가격을 중심으로
- 지역특성 기반 민관협력적 다층적 접근을 통한 소상공인 지원 정책 특성 연구 - FGI를 활용한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