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연구 논문] 역동적인 예배와 선교적 의미

이용수  62

영문명
Dynamic worship and missionary meaning
발행기관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저자명
김은수(Kim Eun-Soo)
간행물 정보
『신학사상』신학사상 2005년 가을호(제130집), 175~198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독교신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5.09.01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그리스도인들은 예배를 통해 하나님을 만나고 그의 증인으로 자라가야 한다(사 6:1-8). 그리스도인들은 살아 있는 예배에서 선교의 도전을 받고 참된 증인으로 양육되는 예배를 통해 세상 속에서 선교하는 하나님의 백성으로 살아갈 수 있게 되기 때문에 무엇보다 예배가 살아야 한다. 한국의 그리스도인들의 76.5%는 교회의 수평이동을 경험하였다. 이러한 교인의 수평이동(switching)은 4명 중 3명 이상이 교회를 옮긴 경험이 있다는 높은 수치에 놀라운 면이 있지만, 다른 한편 수평이동한 교인들이 생각하는 바람직한 교회의 모습 가운데 과반수가 넘는 53.2%가 예배와 관련이 있다는 사실에 주목 해야 한다. 예배에 대한 만족도는 곧바로 선교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면에서 그 의미가 매우 크다. 예배가 살아 있지 못할 때 교인들은 선교에 집중하기 보다는 자신의 신앙적 만족을 위해 교회를 옮겨 다니는 일로 귀결되기 때문에 예배의 위기는 곧 선교의 위기가 된다는 사실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예배 와 선교와의 기본적인 관계를 살펴보고 동방 정교회 선교의 핵심 개념인 '예배 후의 예배'를 검토함으로써 역동적이고 영감 넘치는 예배의 회복을 모색하여 오늘날 선교적 위기 극복의 한 방안을 제시하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for a relationship between worship and missions. This paper regards a crisis of worship as a crisis for missions because Christians seek to find a new church instead of participating in missionary work. According to research by the Church Growth Institute in 2004, church members who are not satisfied with worship desire to move to another church. The following statistic states some reasons why Christians are moving from church to church. This paper suggests three useful tasks regarding dynamic worship. First, dynamic worship comes from a renewal of a eucharist worship; liturgy in the Orthodox Church. Jesus commands his disciples to a new covenant of worship and life by the Last Supper. However, the Protestant Church has lost the meaning of 'the Last Supper' , which include not only 'the Lord's Supper' but also the Eucharist. Worship is not separate from the Eucharist, which means an 'Agape Mea]' . Dynamic worship must involve a eucharistic communion. Second, worship is a celebration, an anticipation of the kingdom of God. Many reformers like Martin Bucer, John Calvin, John Knox and others emphasize a celebration of worship as an important subject for reformation. Students want to worship as in a celebration. The following statistic reveals results which asked students in Jeonju University what program they enjoyed the most in their chapel service. Third, worship has to continue not only on Sunday, but also the other six days. λΕιΤΟυργι'α(worship) comes from λΕιΤ(people) and Ε'ργΟυ(work). Also, worship means a public work by many people, diakonia, one meaning of 'the liturgy after the liturgy' in an Orthodox Church. The statistic below is the results of a survey about chapel by non-christian students at the end of semester year in 2004.

목차

초록
1. 예배의 위기? - 선교의 위기?
2. 역동적인 예배의 회복과 선교
3. 끝맺는 말
별첨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은수(Kim Eun-Soo). (2005).[연구 논문] 역동적인 예배와 선교적 의미. 신학사상, 130 , 175-198

MLA

김은수(Kim Eun-Soo). "[연구 논문] 역동적인 예배와 선교적 의미." 신학사상, 130.(2005): 175-19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