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연구 논문] 오므리 왕조의 역사적 의미와 종교 혼합주의
이용수 237
- 영문명
- Die geschichtliche Bedeutung der Omriden und der Synkretismus
- 발행기관
-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 저자명
- 이희학(Lee Hee-Hak)
- 간행물 정보
- 『신학사상』신학사상 2005년 가을호(제130집), 51~79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09.01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스라엘은 왕국의 건설과 더불어 활발한 외교적 교류를 갖게 되었고, 문화적인 개방을 통해 주변 국가들의 여러 종교들과 쉽게 접촉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되었다. 더 나아가 이스라엘 왕실과 주변 국가 왕실들과의 정략적 유대 관계는 야웨 종교를 새로운 혼합주의적 위험성에 노출시켰고, 이스라엘에서 주변 국가들의 신들을 위한 제의의 확립을 가능하도록 만들어 주었다. 왕실의 외교정책으로 인하여 극심해진 종교 혼합주의는 기원전 9세기에 이르러 무엇보다도 북 왕국의 오므리 왕조 시대에 종교적이고 정치적이고 사회적인 갈등을 일으켰다. 오므리 왕조는 새롭게 형성한 강력한 중앙 정부 구조를 토대로 외교정치 무대에서 크게 성공을 거두었는데, 그것은 전통적인 야웨 종교의 회생을 통해 가능하였다. 오므리 왕조가 추진했던 활발한 국제교역과 문화적 개방은 야웨 종교와 바알 종교의 이원적 공존을 전제로 한 것이었다. 오므리 왕조는 배타적인 야웨 종교를 고집하는 것이 왕국의 이익에 부합하지 않으며, 자신들이 선택한 국제교류의 흐름에 뒤떨어진 방법이라고 판단하였던 것이다. 하지만 오므리 왕조는 강제적으로 야웨 종교와 바알 종교의 완전한 결합을 추구하지는 않았고, 오히려 다신교적인 병렬을 기대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진행과정에서 심각한 저항운동이 일어났다. 엘리야와 그의 배후에 서 있는 보수적인 야웨 종교 집단들이 오므리 왕조의 종교 정책에 강하게 반기를 든 것이다. 그들은 왕실 주도의 외교를 통한 종교 혼합주의에 맞서 싸웠다. 그들은 국가에 자연 재앙(가믐)이 든 것은 종교적이고 제의적인 개방 때문이라고 선포하였다. 왕실 종교 정책에 대한 이러한 저항운동은 아합의 아들 요람의 통치 기간에 큰 결실을 맺게 되었다. 엘리사를 대표로 하는 보수적인 야웨 종교 집단은 군부와 연합하여 반란을 일으켰고, 이들의 후원을 받은 예후는 새로운 왕으로 등극하였다. 오므리 왕조에 의한 종교 혼합주의는 연속적인 예언자적 저항으로 인하여 종말을 고하고 말았다.
영문 초록
목차
초록
1. 들어가는 말
2. 오므리 왕조의 역사적 의미
3. 오므리 왕조의 종교 정책과 종교 혼합주의
4.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神學思想' 한국학술진흥재단 등재학술지로 선정
- [연구 논문] 목회상담에서 윤리 규범의 문제
- 이번 호에는
- [연구 논문] 오므리 왕조의 역사적 의미와 종교 혼합주의
- [연구 논문] 역동적인 예배와 선교적 의미
- [연구 논문] 문명의 대전환과 대학교육 개혁
- [연구 논문] 초대교회 성만찬 연구를 통한 개신교 예배 방향 모색
- [심포지엄] 한국 교회의 아시아 비전
- [연구 논문] 11QT(성전문서) 56.12-59.21에 나타난 "왕의 율례"
- [연구 논문] 특이점 정리에 나타나는 은유의 여성신학 및 민중신학과의 접목
- [연구 논문] 아리스토텔레스의 수사학을 중심으로 살펴본 호세아서의 문학적 신학적 특징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BEST
- 영재고를 졸업한 대학생의 내러티브 정체성에 관한 연구
- 학령기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상호작용 발달 놀이치료(IDP) 사례연구
- 죽음불안에 관한 분석심리학과 실존신학의 연구: 분석심리학자 칼 융과 실존신학자 폴 틸리히를 중심으로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NEW
- 율법과 복음의 관계 - 루터와 칼빈과 ‘바울에 관한 새 관점’의 입장 비교를 통한 연구
- 개인구원을 넘어 사회적 칭의론을 향하여 - 구원론의 지평 확대
- 코메니우스의 구원론 - 믿음, 소망, 사랑과 이신칭의와의 관계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