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연구 논문] 목회상담에서 윤리 규범의 문제
이용수 100
- 영문명
- The Issue of Ethical Norms in Pastoral Counseling
- 발행기관
-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 저자명
- 박노권(Park No-Kwon)
- 간행물 정보
- 『신학사상』신학사상 2005년 가을호(제130집), 199~224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09.0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회상담에서 윤리 규범의 결핍은 현대 목회상당에서 중요한 문제로 동장하고 있다. 본 연구는 왜 이러한 현상이 나오는지를 분석한다. 그것은 먼저 프로이드와 로저스 등의 심리학자들이 소위 가치중립을 내세우면서 도덕주의를 피하려고 하기 때문이고, 또한 현대 다원주의 사회에서 상대주의의 영향으로 이런 현상이 생기는 것으로 분석한다. 특별히 목회상담의 뿌리를 내렸던 힐트너의 영향으로 더욱 이런 현상이 심각해 졌다고 본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목회상담에서 윤리 결핍의 문제를 분석하고, 왜 윤리 규범이 필요한 지를 실천적인 측면에서 제시한 다음, 신학적인 근거를 세 학자 - 클랩쉬와 재클, 하워드 클라인벨, 그리고 돈 브라우닝-를 통해 찾아본다. 특별히 본 연구는 기독교 신앙과 심리학적 통찰력의 상호 비판적 대화를 통하여 목회상담에 필요한 윤리적 규범을 어떻게 만들 것인가에 대한 돈 브라우닝의 방법론을 강조하여 소개한다. 상담에서 필요한 윤리 규범을 만들기 위한 그의 다섯 차원의 방법론- 은유, 의무, 경향성 - 욕구, 상황, 규칙 - 역할 -은 오늘날 상담에서 사랑, 용서, 수용을 강조하면서 윤리적 이기주의의 영향에 빠지기 쉬운 실수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게 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separation of pastoral counseling from ethical norms is one of major dilemmas in contemporary pastoral counseling. Emergency of pluralistic society and influence of psychologies is analyzed as important factors to separate pastoral counseling from ethics. Freud, who saw the superego as the seat of morality, and Rogers, who tried to avoid moralism, are main figures to make "value free" in pastoral counseling. S. Hiltner, who was influenced by Rogers and influenced many contemporary pastoral theologians, believed that the minister should set aside personal moral convictions in the context of care and counseling.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ason why there is a lack of ethical norms in modem pastoral care, and suggest the way to recover ethical norms in pastoral counseling in the light of practical and theological concern. For this, three pastoral theologian are studied. First, W. Clebsch and C. Jaekle adds "reconciliation" to the traditional function of pastoral care, healing, sustaining, and guiding. This reconciliation includes not only forgiveness but also discipline which includes stem ethical correction. Second, Howard Clinebell suggests five stages to solve the problem of guilt feeling: Confrontation, confession, forgiveness, restitution, and reconciliation. These five stages are explained focusing on why we need ethical confrontation to care for people fully.
Finally, Browning's method to relate Christian faith and psychological insights in seeking ethical norms for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is introduced. According to Browning, without ethical norms, there would be identity confusion in pastoral counseling which might lead to mental illness. This study is focused on Browning's attempt to solve a problem of modern pastoral care - lack of ethical norms - through his method of five dimensions-metaphor. obligation, tendency-need, context. reul-role.
목차
초록
1. 들어가는 말
2. 상담에서 윤리적 규범의 상실 원인
3. 상담에서 윤리적 규범의 필요성
4. 윤리적 규범 회복의 신학적 근거
5. 상담에서 윤리적 규범 회복을 위한 시도들
6. 나오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神學思想' 한국학술진흥재단 등재학술지로 선정
- [연구 논문] 목회상담에서 윤리 규범의 문제
- 이번 호에는
- [연구 논문] 오므리 왕조의 역사적 의미와 종교 혼합주의
- [연구 논문] 역동적인 예배와 선교적 의미
- [연구 논문] 문명의 대전환과 대학교육 개혁
- [연구 논문] 초대교회 성만찬 연구를 통한 개신교 예배 방향 모색
- [심포지엄] 한국 교회의 아시아 비전
- [연구 논문] 11QT(성전문서) 56.12-59.21에 나타난 "왕의 율례"
- [연구 논문] 특이점 정리에 나타나는 은유의 여성신학 및 민중신학과의 접목
- [연구 논문] 아리스토텔레스의 수사학을 중심으로 살펴본 호세아서의 문학적 신학적 특징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BEST
- 영재고를 졸업한 대학생의 내러티브 정체성에 관한 연구
- 학령기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상호작용 발달 놀이치료(IDP) 사례연구
- 죽음불안에 관한 분석심리학과 실존신학의 연구: 분석심리학자 칼 융과 실존신학자 폴 틸리히를 중심으로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NEW
- 율법과 복음의 관계 - 루터와 칼빈과 ‘바울에 관한 새 관점’의 입장 비교를 통한 연구
- 개인구원을 넘어 사회적 칭의론을 향하여 - 구원론의 지평 확대
- 코메니우스의 구원론 - 믿음, 소망, 사랑과 이신칭의와의 관계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