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구행복역량교육의 성과 분석: 교육과정 편성ㆍ운영을 중심으로

이용수  411

영문명
Analysis of the Achievements of Daegu Happiness Competency Education with a Focus on Curriculum
발행기관
한국비교교육학회
저자명
박찬호(Park Chan ho) 정일환(Chung Il Hwan)
간행물 정보
『비교교육연구』비교교육연구 제28권 제4호, 221~248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9.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1세기 핵심역량이 대두되면서 시작된 대구행복역량교육의 교육과정 편성·운영 측면에서 성과를 분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측면에서 볼 때 학생, 학부모, 교원·교육전문직은 대구행복역량교육에 대하여 모두 중간 이상 수준의 인식을 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평균치를 비교하면 학생과 학부모는 큰 차이가 없었고 교원의 인식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았는데 이는 교원이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주체라는 점에서 이해 가능한 결과이다. 또한 학부모는 학교급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데 반해, 학생과 교원은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특히 예측과는 달리 학생과 교원 모두 학교급이 올라가면서 인식 수준이 낮아졌으며, 특목고·자율고와 특성화고에서 가장 낮은 결과를 보였다. 이는 대구행복역량교육이 2014년에 본격 시행되어 아직 초기라는 점과 함께 대학 입시나 취업으로 인한 부담으로 새로운 교육과정을 인식하고 받아들일 여지가 적었기 때문일 것으로 볼 수 있다. 앞으로 교육과정이 안착되면서 자연히 개선되겠으나 여기에서 대구행복역량교육의 안착을 위한 시사점도 찾아볼 수 있을 것이다. 교육과정 편성·운영에 대한 평가를 CIPP 모형에 근거한 설문 조사를 실시함으로써 상황, 투입, 과정, 산출로 나누어 평가한 결과, 학생과 학부모는 산출에 대해 매우 높은 평가를 내리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반면, 교원의 경우 투입에 대한 평가가 가장 높았다. 비록 학생과 학부모는 상황과 투입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지 않았으나 학생과 학부모의 산출평가 문항 평균값이 교원의 투입평가 문항 평균값과 유사하였다. 성과에 해당하는 산출평가만을 기준으로 한다면 교육의 대상인 학생들로부터 교육과정 편성·운영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는 점은 매우 의미 있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erformance of the Daegu Happiness Competency Education Program. It was confirmed that students, parents, teachers, and education professions are aware of the middle and higher level of education for happiness in Daegu in terms of the formation and operation of the curriculum.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tudents and parents in terms of average value, and teachers’ perception level is relatively high, which is understandable in that teachers are the subjects of the curriculum organization and operation. In addition,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arents and the school level, bu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In particular, students’ and teachers’ perceptions were lowered as the number of schools increased, unlike the predictions. They showed the lowest results in the special schools, autonomous schools and special schools. The reason for this is that Daegu Happiness Competency Education was implemented in 2014, and it was because there was little room to recognize and accept the new curriculum due to the burden of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or employment. In the future, it will naturally improve as the education process is settled, but here we can find suggestions for the establishment of Daegu Happiness Competency Educ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찬호(Park Chan ho),정일환(Chung Il Hwan). (2018).대구행복역량교육의 성과 분석: 교육과정 편성ㆍ운영을 중심으로. 비교교육연구, 28 (4), 221-248

MLA

박찬호(Park Chan ho),정일환(Chung Il Hwan). "대구행복역량교육의 성과 분석: 교육과정 편성ㆍ운영을 중심으로." 비교교육연구, 28.4(2018): 221-24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