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OECD 교원양성 국제비교 연구(ITP)가 한국의 중등교원양성제도 개혁에 주는 시사점

이용수  850

영문명
Exploring the OECD ITP(Initial Teacher Preparation) Program and Its Implications for Future Teacher Education and Induction Policy
발행기관
한국비교교육학회
저자명
전수빈(Jeon Sue Bin)
간행물 정보
『비교교육연구』비교교육연구 제28권 제4호, 1~21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9.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OECD ITP 프로젝트는 일종의 블랙박스를 들여다본 연구와 같다.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다양한 국제학업성취평가 결과 비교를 통해 각국은 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교원양성교육 개혁과 신임 교원의 입직연수 지원제도를 포함한 다양한 전문성 개발제도의 개혁을 시도해왔다. 2015년부터 OECD 회원국들 가운데 자발적 참여 의사를 밝힌 국가들을 중심으로 국가 간 심층 비교연구인교사 양성제도 국제비교 연구(ITP)를 시행해 왔다. 본고에서는 ITP 프로젝트의 진행 과정을 소개하고, 참여국의 교원양성제도에 대한 국가배경보고서를 분석하여 참여국 간 교원양성제도 상의 특징을 비교해 보았다. 또한 과제 참여국의 교원양성 제도를 비교하여 교원 양성제도를 둘러싼 공통적 쟁점들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6개국의 교원양성제도의 공통점과 차이점 여섯 가지를 도출하였다. 또한 이러한 비교·분석한 결과는 우리나라의 교원양성제도를 개혁하는데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해 주었다. 첫째, 국가 수준의 전문성 기준(professional standards)을 개발하여 교원 양성, 연수, 평가, 승진에 이르는 제도의 연속성과 일관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둘째, 교원양성제도 개혁의 속도와 강도를 조금 더 높일 필요가 있다. 셋째, 좀 더 다양한 이해집단이 교원양성제도 개혁과 운영에 참여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e OECD ITP project has looked at the black box of each participating countries’ teacher education system. In the 2000s, various countries have tried to reform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systems for teachers, including teacher education and induction, as an initial yet crucial step to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Since 2015, OECD member countries have been conducting an international comparison study on teacher education and induction programs(i.e. ITP). The ITP project is an in-depth comparative study among the member countries that have expressed willingness to participate voluntarily. This paper introduces the progress of the ITP project and analyzed the national background report on the teacher education and induction system of the participating countries and compared the features of the systems. In addition, this study explores the common issues surrounding the teacher education and induction system. Moreover, the researcher has tried to derive some suggestions for improvement of teacher education and induction system in Korea.

목차

Ⅰ. 서 론
Ⅱ. ITP 프로젝트 소개
Ⅲ. 연구 방법, 분석 자료 및 제한점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전수빈(Jeon Sue Bin). (2018).OECD 교원양성 국제비교 연구(ITP)가 한국의 중등교원양성제도 개혁에 주는 시사점. 비교교육연구, 28 (4), 1-21

MLA

전수빈(Jeon Sue Bin). "OECD 교원양성 국제비교 연구(ITP)가 한국의 중등교원양성제도 개혁에 주는 시사점." 비교교육연구, 28.4(2018): 1-2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