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국 교사자격제도의 의제설정 과정 분석
이용수 469
- 영문명
- A Study on the Agenda Setting Process of Teacher’s Certification System in China
- 발행기관
- 한국비교교육학회
- 저자명
- 여유연(Li Yu Yan) 장선희(Jang Seon Hee) 정제영(Chung Jae Young)
- 간행물 정보
- 『비교교육연구』비교교육연구 제28권 제4호, 249~272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9.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1978년부터 2018년까지 중국 교사자격제도의 의제설정 과정을 어느 집단이 주도하였는지에 대해 Cobb과 Elder(1972)와 Cobb 등(1976)의 이론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1978년부터 2018년까지 약 40여 년의 기간을 교사자격제도 도입기(1978∼1992), 교사자격제도 과도기(1993∼1998), 교사자격제도 안정기(1999∼현재)로 구분하여 시기별 교사자격제도의 의제설정과정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중국 교사자격제도의 의제설정 과정을 주도한 집단은 시기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교사자격제도 도입기는 정책결정자 및 정부가 주도한 ‘내부접근형’, 교사자격제도 과도기는 중국 정부 및 교육부가 주도한 ‘동원형’, 교사자격제도 안정기는 대중매체, 연구자, 정부 등 다양한 집단이 주도한 ‘외부주도형’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중국 교사자격제도의 의제설정 과정이 중국 사회의 발전정도에 따라 민주화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중국교사자격에 대한 질 관리도 강화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hich group led the process of agenda setting of teacher’s certification system in China from 1978 to 2018 using the Cobb & Elder’s theoretical model. The period of about 40 years from 1978 to 2018 is divided into the introduction period of teacher’s certification period (1978∼1992), transition period (1993∼1998), and stabilization stage (1999∼2018). The agenda setting process was analyzed. As a result, the group that led the process of agenda setting of the Chinese teacher’s certification system varied according to the period. The introduction period of teacher’s certification system was analyzed as ‘Inside Access Model’ led by policy makers and government, and the transition period was confirmed as ‘Mobilization Model’ led by Chinese government and Ministry of Education. The stabilization period was analyzed as ‘Outside Initiative Model’ led by various groups such as
mass media, researchers, and government. It was found that the process of agenda setting of teacher’s certification system had been changing toward democratization according to the degree of development of Chinese society, and the quality control of teacher certifications had been strengthene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분석의 틀
Ⅳ. 중국 교사자격제도의 의제설정 과정 분석
Ⅴ. 결 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국교육에서 표준화시험의 역사적 전개와 시사점:
- 한국과 중국의 초등교사양성 프로그램에 대한 비교연구
- 동아시아 청소년의 시민참여 영향요인 비교 분석
- 고등교육 프랜차이즈 운영 및 질 관리에 관한 연구: 영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 대구행복역량교육의 성과 분석: 교육과정 편성ㆍ운영을 중심으로
- 중국 대학교 탈행정화 정책 분석: Cooper의 4차원 정책분석 모형을 사용하여
- OECD 교원양성 국제비교 연구(ITP)가 한국의 중등교원양성제도 개혁에 주는 시사점
- 캘리포니아 주 고등학교의 학점제 기반 교과목 이수 체제 고찰
- 중국 교사자격제도의 의제설정 과정 분석
- 중국의 세계일류대학 육성정책의 성과 및‘쌍일류’ 건설의 주요 내용과 특징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