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캘리포니아 주 고등학교의 학점제 기반 교과목 이수 체제 고찰
이용수 1,022
- 영문명
- The Subject Completion System Based on High School Credit System in State of California
- 발행기관
- 한국비교교육학회
- 저자명
- 이광우(Lee Kwang Woo)
- 간행물 정보
- 『비교교육연구』비교교육연구 제28권 제4호, 23~49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9.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캘리포니아 주의 학점제 기반 고등학교 교과목 이수 체제에 대한 고찰을 통해 향후 우리나라 고교학점제 운영에 있어서 검토되어야 할 시사점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미국의 학점제 교육과정의 특징, 미국 캘리포니아 주 고등학교의 학점제 기반 교과목 이수 체제를 분석하였다. 캘리포니아 주는 주 수준에서 교과군별 졸업 최저 이수 학점을 제시하고, 교육구에서는 대학입학요강, 학생의 필요와 요구를 고려하여 교육구 수준의 교과군별 졸업 최저 이수학점을 제시한다. 학교 수준에서는 교육구 수준에서 제공되는 과목의 교수요목에 기초하고, 주 수준의 교육과정 기준을 기반으로 하여 과목을 개발하게 된다. 주에서 교육구, 교육구에서 단위 학교 수준으로 갈수록 졸업에 필요한 이수 학점이 높게 설정된다. C학점 이하이면 학점을 받지 못하게 되고, 재이수를 하게 된다. 학생들은 진로 상담 교사, 학부모와의 면담을 통해 다양한 경로를 활용하여 졸업이수 학점을 이수하게 된다. 캘리포니아 주의 고등학교 교과목 이수 체제 분석결과에 근거하여 우리나라의 고교학점제의 성공적 안착을 위해서 고려되어야 할 점으로 ‘현행 졸업 이수 단위의 적정성 검토’, ‘유의미한 과목 개설을 위한 시·도 교육청 및 단위 학교 수준의 노력 필요’, ‘과목 이수 기준 설정에 따른 후속 조치의 마련’, ‘학생 선택의 질적 측면 제고’, ‘유의미한 선택을 위한 진로 코칭의 활성화’, ‘고등학교 교육과정과 대학 입시와의 연계성 수준 설정’, ‘학점제 기반 외국고등학교 교육과정에 대한 심층적인 후속 연구’ 등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consider the subject completion system based on high school credit system in State of California. To achieve research aims, this study analyzed a characteristics of curriculum of credit system in US, subject completion system based on high school credit system in State of California. Based on analysis results, this study
search implications for implementing high school credit system in korea. For stable implement of High School Credit System, This study proposed that ‘review of relevance of graduation requirement credit’, ‘effort in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and School for establishing meaningful subject’, ‘taking follow-up action in accordance
with setting of subject completion standard’, ‘qualitative improvement of student’s subject selection’, ‘revitalization of career coaching for meaningful subject selection’, ‘setting of level on connectivity between high school curriculum and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a study on the in-depth follow-up about high school curriculum based credit system in foreign country’.
목차
Ⅰ. 서 론
Ⅱ. 미국의 학점제 교육과정의 특징
Ⅲ. 캘리포니아 주 고등학교의 교과목 이수 체제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국교육에서 표준화시험의 역사적 전개와 시사점:
- 한국과 중국의 초등교사양성 프로그램에 대한 비교연구
- 동아시아 청소년의 시민참여 영향요인 비교 분석
- 고등교육 프랜차이즈 운영 및 질 관리에 관한 연구: 영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 대구행복역량교육의 성과 분석: 교육과정 편성ㆍ운영을 중심으로
- 중국 대학교 탈행정화 정책 분석: Cooper의 4차원 정책분석 모형을 사용하여
- OECD 교원양성 국제비교 연구(ITP)가 한국의 중등교원양성제도 개혁에 주는 시사점
- 캘리포니아 주 고등학교의 학점제 기반 교과목 이수 체제 고찰
- 중국 교사자격제도의 의제설정 과정 분석
- 중국의 세계일류대학 육성정책의 성과 및‘쌍일류’ 건설의 주요 내용과 특징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와 ChatGPT 생성 텍스트의 어휘 및 구문 특성 비교: 코퍼스 기반 분석
- Coh-Metrix를 활용한 한국·일본·중국인 EFL 학습자의 영어 에세이에 나타난 언어적 특성 비교 분석
- 디지털 도구 패들렛(Padlet) 기반 영어 자유 글쓰기: 쓰기 불안감 극복과 학습 성과 향상을 위한 전략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