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n the Special Education Course in the Department of Secondary Special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이병혁(Lee, Byounghyuk)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학연구』제53권 제2호, 159~178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9.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등특수교육(학)과 전공 교육과정을 구성하고 있는 교과목들을 분석하여 그 특성과 전공 교육과정의 문제점, 그리고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법 등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14개 중등특수교육(학)과 전공 교육과정의 119개 교과목을 작성된 분석기준에 따라 분류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 중등특수교육(학)과 전공 교육과정에 가장 많이 편성된 교과목들은 주로 장애유형별 교육 및 ‘특수학교 교육과정’, 그리고 ‘진단 및 평가’ 등으로 대부분이 기본이수과목에 해당된다. 둘째, 영역별 교과목 수는 교육방법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내용지식, 학생, 학습 환경, 그리고 교사 등이었다. 셋째, 교육방법 영역에서는 장애유형별 교육에 해당되는 교과목들이, 내용지식 영역에서는 특수교육 관련 실제에 해당되는 교과목들이, 그리고 학생 영역에서는 장애유형별 아동 특성과 관련된 교과목들이 가장 많았다. 학습 환경 및 교사 영역의 경우 교과목 수는 많지 않았으나 다수의 중등특수교육(학)과 전공 교육과정에 편성되어 있었다. 전반적으로, 교과의 내용과 구조를 다루는 교과목 및 교수전략 이상의 교육방법을 다루는 교과목들은 부족하였다. 중등특수교육(학)과 전공 교육과정 운영에 자율성을 더 부여하도록, 교과전공 체제 및 운영의 재고와 기본이수과목의 축소 등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subjects of the special education course in the Department of Secondary Special Education, explored its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and suggested solutions. One hundred and nineteen subjects from the special education course of 14 departments of secondary special education were selected and then classified through the newly built analysis criter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subjects assigned the most in the special education course were the education by disability type, “curriculum of special school”, and “diagnosis and evaluation”, and they mostly fell under the required subjects. Second, for the number of subjects by area, the subjects related to teaching method were the highest, followed by content knowledge, student, learning environment, and teacher. Third, for the number of subjects in the area of teaching method, the subjects related to education by disability type were the most. For the number of subjects in the area of content knowledge, the subjects related to practices for special education were the highest. And for the number of subjects in the area of student, the subjects related to children’s characteristics by disability type were the most. When it comes to the area of learning environment and teacher, although the number of subjects was few in each area, they were included in the special education course of most departments of secondary special education. In general, both the number of subjects dealing with content and structure for specific subjects and those with teaching methods beyond instructional strategies were not enough. To allow more autonomy on operating the special education course in
departments of secondary special education, rethinking the system and management of subject majors and downsizing the number of required subjects could be considered.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