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서울 지역 초등학교의 통합교육 실행에 대한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평가

이용수  401

영문명
Teachers’ Evaluation of Inclusive Education Practices in Elementary Schools at Seoul: Using the Quality Indicators of Elementary Inclusive Education
발행기관
한국특수교육학회
저자명
최혜리(Choi, Hye-Ii)박승희(Park Seung Hee)
간행물 정보
『특수교육학연구』제53권 제2호, 23~52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9.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서울 지역 초등학교에서 실행되는 통합교육의 구체적인 실제를 타당화된 초등 통 합교육 질 지표를 사용하여 평가한 결과를 제공한다. 총 105개 초등학교에서 420명의 특수교사와 일반교사가 자신이 재직하고 있는 학교의 통합교육 실행 수준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로 통합교육의 전반적인 실행 수준과 학교 및 교사 배경변인에 따른 통합교육 평가의 차이, 그리고 그 변인들의 상대적인 영향력 분석 결과를 제공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라 기술통계, 독립표본 t 검정, 일원분산분석 및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인 연구결과 첫째, 일반교사가 특수교사보다 초등 통합교육 실행 총점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평가하였으며 저학년 및 고학년 교사집단별로는 차이가 없었다. 둘째, 7가지 하위영역별 평가는 특수교사 영역이 1위로 가장 높았으며 학교관리자와 학생영역이 6, 7위로 가장 낮았다. 학교 및 교사 배경변인에 따른 통합교육 실행 평가의 차이에서는 다양한 양상들을 보였다. 셋째, 학교 및 교사 배경변인의 통합교육 실행 평가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 크기는 학교관리자의 통합교육 지지정도, 특수교사의 통합교육 지지정도, 일반학생의 장애학생 수용정도의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처음으로 초등 통합교육의 실제를 타당화된 지표를 사용하여 양적으로 평가하였다는 점에 의의를 가진다. 결과에 내포된 시사점 및 통합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통합교육 점검과 평가 관련 제언을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degree of implementation of inclusive education in some elementary schools at Seoul by special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using the quality indicators of elementary inclusive education that were nationally validated and composed of seven subareas and 55 indicators developed by Park, Hong, and Choi (2012). We analyzed the survey responses from 420 teachers of 105 selected elementary schools. We analyzed the evaluation data of 105 schools using descriptive statistics,independent sample t-tests,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total score of teachers’rating the inclusive education practices of the schools was 83.08 out of 100. Among seven subareas of the indicators,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area had the highest score, whereas the administrator and student areas had the lowest. The general education teacher group’s evaluation of inclusive educ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 group. As one of the school background variables, administrators’ supports for inclusive education and nondisabled students’ acceptance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significantly related with teachers’ higher evaluation of inclusive education practices. The higher that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general teachers’ supports for inclusive education were, the higher was the rating of implementation of elementary inclusive education. Finally,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school and teacher variables, the regression model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predicator’s order affecting inclusive education quality was: first, school administrators’ degree of support for inclusive education, and seco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support for inclusive education and general students’acceptance level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and future research needs were suggested for improving inclusive education practices nationwide.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혜리(Choi, Hye-Ii)박승희(Park Seung Hee). (2018).서울 지역 초등학교의 통합교육 실행에 대한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평가. 특수교육학연구, 53 (2), 23-52

MLA

최혜리(Choi, Hye-Ii)박승희(Park Seung Hee). "서울 지역 초등학교의 통합교육 실행에 대한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평가." 특수교육학연구, 53.2(2018): 23-5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