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Review of Trends and Future Directions in Research Regarding the Self-Determin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Korea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이숙향(Lee, Suk-Hyang) 홍주희(Hong, Ju-Hee) 염지혜(Yeom, Ji-Hye) 이정아(Lee, Jung-Ah)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학연구』제53권 제2호, 123~157쪽, 전체 3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9.30
7,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2008년부터 2017년까지 지난 10년 동안에 이루어진 장애학생의 자기결정 관련 국내 연구 총 121편을 선정하여 4가지 연구주제(자기결정 증진의 영향, 자기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중재 및 변인, 자기결정에 대한 인식, 자기결정 관련 특수교육 쟁점) 및 하위주제, 세부변인에 따라 심층 분석함으로써 국내 자기결정 관련 연구의 전반적인 동향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향후 관련 연구의 과제를 모색하였다. 문헌분석 결과, 10년 전에 비해 장애학생의 자기결정 관련 연구가 2배 가까이 양적으로 증가하였을 뿐만 아니라 질적으로도 자기결정 증진의 영향 및 자기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대한 연구의 다양화, 일반학급에서의 연구 증가, 자기결정에 대한 장애학생 당사자의 인식을 조사하는 질적연구가 시도되는 등 의미 있는 변화가 나타났다. 아울러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국내 장애학생의 자기결정에 대한 향후 연구과제를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1) 장애학생의 자기결정 증진을 위한 교사 및 부모의 역량 개발, 2) 장애학생의 전환 및 학업 성과 모두를 위한 교수적 접근 활성화, 3) 자기결정의 측정을 위한 다양한 도구 개발, 4) 자기결정 관련 연구 범위의 확대.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rends and future directions in research regarding the self-determin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Korea by reviewing a total of 121 Korean articles related to this subject and published from 2008 to 2017. The articles were analyzed using research topics (impact of self-determination, intervention/variables to influence self-determination, perception on self-determination, and special education issues regarding self-determination), sub-topics and other variables.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number of research articles has quantitatively increased nearly more than twice compared to 10 years ago. Also, there has been meaningful changes in quality such as the diversity of research regarding the impact of promoting self-determination and interventions for it, the increase of research conducted in general classrooms, and trials to listen to students about self-determination.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mplications for application of and future research on self-determination are provided as follows: a) improving capacities of teachers and parents to promote the self-determin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b) using instructional methods to enhance both transition and academic outcomes for the students, c) developing various scales to measure degree of self-determination, and d) extending the scope of research on
self-determin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비수도권 사립대학 학생의 학업중단 예측요인 분석
- 대면/비대면 수업방식이 대학생의 학습 경험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
- 대학 신입생의 그릿, 진로태도성숙, 대학몰입이 자기주도성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