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ine vergleichende Studie von der Familienaufloesung in Korea und Deutschland
- 발행기관
- 한독교육학회
- 저자명
- 서수경(Seo Su Gyeong)
- 간행물 정보
- 『교육의 이론과 실천』제9권 제2호, 65~90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10.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한국과 독일의 가족해체에 대한 전반적인 상황을 관찰, 비교함으로써 오늘날 한국 가족의 위기상황을 타개하기 위한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가족해체, 특히 이혼을 통해 파생되는 여성과 아동의 빈곤문제를 부각시키고자 하였다. 나아가 한국 사회의 가족정책 부재를 비판하고 대안을 모색해보고자 하는 의도도 담고 있다. 오늘날 한국 사회의 가족위기는 개인의 무능력에서 비롯되었다기보다는 많은 경우 사회구조적 원인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가족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가족정책에 대한 검토와 비판, 그리고 방향설정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한 시점에 왔다.
영문 초록
Familien sind das stabile Zentrum und die soziale Mitte der Gesellschaft. Aber heutzutage ist das Phaenomen der Familienaufloesung ein grosses Gesellschaftsproblem. In den letzten Jahren nahm die Scheidungsquote dramatisch zu. Viele koreanische Familien, die durch Trennun und Scheidung aufgeloest sind, leiden unter wirtschaftliche Nachteile. In dieser Studie wurden das Phaenom der Familienaufloesung und Familienpolitik in Korea mit denen in Deutschland verglichen. In Deutschland werden heute Massnahmen zur Vermeidung von Risikolagen im Vorfeld der Trennung, Massnahmen zur Vermeidung des Scheidungsverfahren sowie Massnahmen zur Entschaerfung der Uebergangsprobleme diskutieren. Zu einer Massnahme zaehlen die Beschaeftigungsfoerderung im Allgemeinen die u. a. die Leistungsfaehigkeit der Unterhaltspflichtigen verbessert, und die Foerderung der Erwerbstaetigkeit von Frauen im Besonderen. Im Gegensatz zu den Massnahmen in Deutschland sind keine nennenswerte familienpolitische Massnahmen in Korea, die aufgeloeste Familien und deren Schwierkeiten unterstuetzen. Durch die vergleichende Analyse zwischen den beiden Gesellschaften werden einige Andeutungspunkte fuer die koreanische gesucht.
Erstens, mannigfaltige und praktische Familienpolitik sind fuer die Familien, die nach der Scheiung unter und Schwierigkeiten und Probleme leiden, eingefuehrt werden.
Zweitens, systemische und interdisziplinaere Familienpolitik und deren Orientierung sind ausgebildert werden.
Drittens, Anstalt, das alle familienpolische Anliegen uebernimmt, wie Familienministerium in Deutschland ist errichtet werden.
Viertens, Begriffsbestimmungen ueber Familien sind in der Oeffentlichkeit viel diskutiert werden.
Fuenftens, verschiedene Familienstudien wie Trennung, Scheidung und deren Probeleme usw, sind erforscht werden.
목차
《요약》
I. 서론
II. 독일 가족해체 및 가족정책
III. 한국 가족해체 현황과 사회적 대응
IV. 가족해체에 관한 한국ㆍ독일 비교 및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공지능 시대, 민주시민에서 생태시민으로: ‘다름’의 관계적 의미와 생태전환교육의 함의
- 초등영어학습자의 글로벌 리터러시 기반 글로벌 시민의식 함양을 위한 예비교사의 수업 설계·구현 방안
- 대학 담임제도가 교원 이직에 미치는 영향: 중국 산시성(山西省)의 G 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