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안학교에 대한 일고

이용수  213

영문명
Eine Uberlegung uber alternative Schule
발행기관
한독교육학회
저자명
김송일(Kim Song Il)
간행물 정보
『교육의 이론과 실천』제9권 제2호, 27~43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4.10.30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학교의 과제는 학생들에게 그저 단순한 지식만을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학습하는 방법을 가르치는 일이다. 즉 협동심, 자립심,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의 배양을 통하여 학생들이 자신들에게 필요한 지식과 능력을 스스로 습득하게 하는 것이다. 때문에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전통적 학교교육의 경직성과 획일성에 대한 비판과 회의적인 반응이 점차 확산되면서 대안학교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점증하고 있다. 이런 맥락에서 본고에서는 대안학교의 개념과 이념적 지향 및 실시형태 등을 살펴보고, 대안학교의 확장 가능성과 한계에 대하여 숙고해 보았다. 대안학교의 한계성을 최소화하고 가능성을 극대화하기 위하여서는 다음과 같은 과제들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 ○ 공교육 혁신과 함께 대안학교 강화 ○ 공교육의 대안으로서 상보적 기능수행 ○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의 자율성 ○ 대안학교에 대한 교육재정의 지원확대 ○ 대안학교 교사의 양성ㆍ임용 및 교사교육체제의 확립 ○ 공립 대안학교의 신설을 통한 수용능력 증대

영문 초록

In der heutigen Gesellschaft sehen wir die Aufgabe der Schule nicht darin, den Schülerlnnen einfaches Wissen zu vermitteln. Wir legen aber einen groβen Wert darauf, daB Schülerlnnen in unseren Schulen das Lernen lernen. Durch die Vermittlung von Teamfähigkeit, Selbständigkeit und Initiativkraft erwerben unsere Schülerlnnen selbständig Kenntnisse und Fähigkeiten, die für sie wichtig sind. Folglich ist das Interesse an der alternativen Schulen im Zunehmen und auch die Nachfrage wächst ständig an, indem kritische Kommentaren zu der festen und genormten Schulerziehung stärker werden und man auf ihre verschiedene Problematiken und Dilemmas der institutionellen Schulen hinweist. In diesem Zusammenhang besteht das Grundanliegen dieser Arbeit darin, Begriffe, Ideen und Ausführungsformen von alternativer Schule vorzustellen. Damit stellt sich der Versuch dar, ihre Entwicklungsmöglichkeiten sowie Grenzen analytisch zu untersuchen. Zu den wichtigsten Aufgabefeldern für die Minimalisierung der Grenzen und die Maximalisierung der Möglichkeiten von alternativen Schulen gehören u.a.: ○ Renovationsantreibung für die Entwicklung des allgemeinen Schulwesens und gleichzeitig Verstärkungsversuch der alternativen Schulen ○ Durchführung von wechselseitigen und ergänzenden Funktionen als Alternativen für die öffentlichen Schulen ○ Autonomie im Curriculumentwicklungsprozeβ für die alternative Schule ○ finanzielle Unterstützung für die schon bestehenden alternativen Schulen ○ Institutionalisierung vom Lehrerausbildungsprozeβ, -anstellungsprozeβ und -fortbildungsprozeβ für die alternative Schule ○ Vergröβerung der Kapazität durch die neue Gründung von öffentlichen Alternativschulen

목차

《요약》
I. 들어가는 말
II. 대안학교의 개념과 유형
III. 대안학교의 확산 가능성과 한계성
VI. 맺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송일(Kim Song Il). (2004).대안학교에 대한 일고. 교육의 이론과 실천, 9 (2), 27-43

MLA

김송일(Kim Song Il). "대안학교에 대한 일고." 교육의 이론과 실천, 9.2(2004): 27-4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