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정신지체아동의 사춘기
이용수 72
- 영문명
- Puberty of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for a change of understanding and attitude
- 발행기관
- 한독교육학회
- 저자명
- 채기화(Chae Ki Hwa)
- 간행물 정보
- 『교육의 이론과 실천』제9권 제2호, 133~151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10.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정신지체아동의 사춘기는 많은 경우 부모나 교사 등 주위사람들로부터 그 자체가 부정되거나 제대로 이해 받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정신지체아동이 사춘기에 보이는 일련의 변화는 장애에 고착되어 해석되며 통제할 수 없고 병리적인 색채를 띄는 것으로 인식되는 경향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신지체아동이 사춘기를 어떻게 경험하는지를 사회심리와 정신분석의 이론에 의거하여 새롭게 조망해 보았다. 연구결과를 보면 정신지체아동의 경우 사춘기에 성적 발달과 심리, 사회적 발달의 불일치가 첨예화되어 나타난다. 이들은 사춘기에 성적 연령과 지적 연령의 차이에서 오는 어려움, 장애와 관련된 정체성에 관한 물음, 신체의식, 독립에 대한 욕구 등과 관련된 문제들과 대면하게 된다. 정신지체아동의 사춘기 과정의 어려움을 완화시키고 성인으로의 과정을 돕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이들의 심리사회적 발달을 적극적으로 지원하여야 한다.
영문 초록
Puberty is the time of life when children go through a lot of sexual(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changes. Especially children are developing their characters through the contact with social environment in their puberty. Due to the challenging power of this age, not only the children who are reaching puberty but also their parents and teachers have a conflicts and problems. But they have to make new efforts for the adaptation to the puberty.
In the case of mentally retarded children, however, they are forced to be given up the puberty itself, or they are unlikely to be understood properly by the others who are nearby them. It makes them more difficult in spending their puberty. In addition a series of changes emerging in their puberty are interpreted with their disability. Therefore some people think they are uncontrollable or pathological.
In this study discuss the problems that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have faced and the appropriate support to them.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mentally retarded children in puberty have been faced with a large disagreement between sexual and psycho-social development. It shows us that they also have confronted the difficulties from the difference between sexual and intellectual age, the questions to their identities, the body-image, and the matters like need of independent living. First of all, we need to support psycho-social development to relieve their difficulties in the process of reaching puberty and to help them in that of becoming adults.
목차
《요약》
I. 들어가는 글
II. 사춘기의 일반적 특성
III. 정신지체아동의 사춘기 특성
IV. 사춘기 정신지체아동의 심리사회적 발달을 위한 지원
V. 맺는 글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