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문제기반학습에 의한 융복합교육 프로그램 효과 연구
이용수 275
- 영문명
- A Study on the Effect of a Yungbokhap Education Program Based on Problem-Based Learning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정재원(Jung Jae wo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5권 3호, 307~331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3.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인재의 핵심 역량을 도구의 상호작용적 활용 역 량, 이질적 집단에서의 상호작용 역량, 자율적 실천 역량의 측면에서 접근하여 문제 기반학습에 의한 융복합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연구하고 교육현장에 효과적, 효율 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평생교육프로그램개 발론’을 수강하는 대학생 21명을 대상으로 8주 동안 문제기반학습에 의한 융복합교 육을 진행하였으며 참가자들은 3명이 한 팀이 되어 총 7팀이 본 연구에 참여했다. 학습자들은 교수자의 피드백을 제공받으면서 개별학습과 협력학습을 진행하였고 평 생교육프로그램을 기획하여 수업계획서를 최종결과물로 제출하였다. 8주간의 문제 기반학습에 의한 융복합교육을 마치고 난 후 융복합 역량 향상 정도를 분석하기 위 해 언어·핵심개념 활용 역량, 협업능력, 자기효능감을 측정하였고 성찰일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도구의 상호작용적 활용 역량, 이질적 집단에서의 상호작용 역량, 자율적 실천 역량이 모두 상승했으며 이와 같은 결과는 문제기반학습에 의한 융복합교육 프로그램이 효과적인 융복합교육을 이끌 수 있다는 가능성을 시사해 주 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research the effect of a Yungbokhap education program based on problem-based learning in terms of using tools interactively, joining and functioning in socially heterogeneous groups, and acting autonomously and reflectively, and to explore the effective and efficient applicability of the program in the field of education. The participants were 21 undergraduate students and they were divided into seven groups for problem-based learning. Each group designed and developed a lifelong education program for eight weeks through individual learning and collaborative learning. After eight weeks’ problem-based learning, it was found that the participants’ competencies in using language and key concept, collaborative competency, and self-efficiency were improved. In addition, competencies in using tools interactively, joining and functioning in socially heterogeneous groups, and acting autonomously and reflectively were in that it improved. From these findings was concluded that problem-based learning led to effective Yungbokhap education through practical and contextual education based on learners’ activeness and diversity.
목차
Ⅰ. 서 론
Ⅱ. 융복합교육 프로그램을 위한 문제기반학습의 활용
Ⅲ. 문제기반학습에 의한 융복합교육 프로그램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교체육에서의 ‘통합체육교육’의 재개념화
- 피겨스케이팅 지도자의 사회적 관계 분석:
- 초등영어 수행평가의 운영 현황과 교사 및 학생의 인식
- 자기주도적 학습전략 훈련을 연계한 지역수준 영어교육정책의 적용 사례연구
- 공감기반 학습모형을 적용한 중학교 도덕과 수업의 효과 분석
- 학습계약에 기반한 개별 탐구학습이 여중생의 문제해결력과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
- ‘동료교원 교원능력개발평가’에 대한 초등학교 교원의 태도탐구
- 2008 대입정책과 논술 사교육
-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향유신념의 매개효과
- 델파이 연구를 통한 공학 창의성 구인 탐색
- 교과별 정의적 영역의 의미와 요소
-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통합교과 교육과정의 적용에 대한 인식 분석
- 학교의 교육적 기능 회복 담론 형성을 위한 시론적 연구: 학교생활 통제를 중심으로
- 공공 건축물과 창작무용공연을 연계한 어린이 통합교육 사례
- 학습자 참여도 증진을 위한 피드백 구조의 다각화 방안
- 통합적 탐구를 지향하는 고등학교 과학 및 사회교육과정의 성취기준 분석
- 지방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진로결정수준, 진로태도성숙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계속성과 계열성 측면에서 초·중·고 학생들의 체육수업 선호 요인 연구
- 영아교사의 식생활 습관 및 영양지식이 영아 급식지도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생의 분노조절 능력 향상을 위한 독서치료 활용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 문제기반학습에 의한 융복합교육 프로그램 효과 연구
- 유아교사의 교수몰입과 행복플로리시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
- 교육과정 개발에서 듀이의 경험과 브루너의 내러티브 이론의 상생 가능성
- 여자중학생들의 학교성교육경험, 성지식 및 성교육요구도
- IPA를 활용한 유아사회성 촉진전략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분석
- 한국어 쓰기 교육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Journal of Chinese Marxism studies Vol.2 No.6 Contents
- 新时代推进“四下基层”的逻辑出场、基本经验与实践路径
- 智能时代高校学生党建思想建设策略探究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