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방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진로결정수준, 진로태도성숙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534
- 영문명
- A Study on Influence of a Local University Student s Self-Efficacy, Career Decision Level,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송영선(Song Young Sun) 송현정(Song Hyeon Jeo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5권 3호, 21~4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3.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고용 없는 성장과 고등교육의 과잉공급, 취업난으로 인해 지방대학 학 생들은 학교이탈과 진로연기라는 위기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지방대학 학생들이 진 로를 준비하고 선택하는 데 있어 자기효능감, 진로결정수준, 진로태도성숙이 진로준 비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지방 소재 4년제 대학 320명 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 여 측정도구의 신뢰도 검증, 상관관계 분석, 단계별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효능감의 하위변인 중 일반적 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진로결정수준의 하위요인 중 진로결정 이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주었다. 셋째, 진로태도성숙 하위요인 중 준비성과 결정 성이 진로준비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 연구결과는 첫째, 지방대학생들은 스스로가 긍정적인 신념과 진로결정에 대한 확고함을 갖고 진로준비를 해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 지방대학생들이 주체적으로 진로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대학당국은 맞춤형 진로서비스 시스템을 구축하여야 한 다는 것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tarted with local university students consciousness of crisis and career postponement caused by employment-free growth, oversupply of higher education and jobs crush. This study looked into which influence of self-efficiency, career decision level,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has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hen local university students prepare for and choose their career.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n 320 students at a local four-year college. This study conducted reliability verification of measuring tools, correlation analysis, and phased multi-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WIN 18.0 Program.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general self-efficacy among the subordinate variables of self-efficacy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career prepara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career decision among the subordinate factors of career decision level had an influence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ird, the results showed that preparedness and decision and determinacy had a positive influence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first Implication of these research results is that local university students should make a career preparation with their own affirmative belief and firmness of career decision. The second implication is that there is the need for the construction of a customized career service system in order for local university students to independently make a career decisio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교체육에서의 ‘통합체육교육’의 재개념화
- 피겨스케이팅 지도자의 사회적 관계 분석:
- 초등영어 수행평가의 운영 현황과 교사 및 학생의 인식
- 자기주도적 학습전략 훈련을 연계한 지역수준 영어교육정책의 적용 사례연구
- 공감기반 학습모형을 적용한 중학교 도덕과 수업의 효과 분석
- 학습계약에 기반한 개별 탐구학습이 여중생의 문제해결력과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
- ‘동료교원 교원능력개발평가’에 대한 초등학교 교원의 태도탐구
- 2008 대입정책과 논술 사교육
-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향유신념의 매개효과
- 델파이 연구를 통한 공학 창의성 구인 탐색
- 교과별 정의적 영역의 의미와 요소
-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통합교과 교육과정의 적용에 대한 인식 분석
- 학교의 교육적 기능 회복 담론 형성을 위한 시론적 연구: 학교생활 통제를 중심으로
- 공공 건축물과 창작무용공연을 연계한 어린이 통합교육 사례
- 학습자 참여도 증진을 위한 피드백 구조의 다각화 방안
- 통합적 탐구를 지향하는 고등학교 과학 및 사회교육과정의 성취기준 분석
- 지방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진로결정수준, 진로태도성숙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계속성과 계열성 측면에서 초·중·고 학생들의 체육수업 선호 요인 연구
- 영아교사의 식생활 습관 및 영양지식이 영아 급식지도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생의 분노조절 능력 향상을 위한 독서치료 활용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 문제기반학습에 의한 융복합교육 프로그램 효과 연구
- 유아교사의 교수몰입과 행복플로리시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
- 교육과정 개발에서 듀이의 경험과 브루너의 내러티브 이론의 상생 가능성
- 여자중학생들의 학교성교육경험, 성지식 및 성교육요구도
- IPA를 활용한 유아사회성 촉진전략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분석
- 한국어 쓰기 교육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시각장애 연구의 방향성 제시를 위한 관련 학술지 게재 논문 동향 분석 (2020년~2024년‘시각장애연구’발행호를 중심으로)
- 오케스트라에서 시각장애학생을 지도한 교사의 자문화기술지
- 점자교원 자격제도 및 점자능력 검정시험 개발을 위한 델파이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