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피겨스케이팅 지도자의 사회적 관계 분석:
이용수 217
- 영문명
- A Study of the Social Relationships of Figure Skating instructor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한주(Han Joo Lee) 손나래(Na Rae Son) 정재은(Jae Eun Chu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5권 3호, 289~306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3.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사회연결망 분석을 통하여 피겨스케이팅 지도자의 사회적 관계 를 조사하는데 있다. 연구참여자는 2014년 대한피겨스케이팅 연맹에 소속된 지도자 를 목적표집(purposive sampling)하여 선정한 65명이다. 연구도구는 동료 지명법 (peer nomination)을 사용하여 사회적 관계와 사회적 자본 질문을 직접 작성하여 수 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사회연결망 분석 프로그램인 UCINET6, NetDraw, PNet을 이용하여 친한 지도자 및 조언 지도자의 중앙성 및 응집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피겨스케이팅 지도자 관계는 강한 유유상종 현상이 나타났다. 구체적으 로 같은 링크장 사용, 같은 지역 출신, 같은 스승 관계가 강한 관계를 맺고 있었다. 둘째, 중앙성이 높은 지도자는 사회적 자본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친한 지도자 와 조언 지도자 관계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피겨스케이팅 지도 자들의 사회적 관계가 매우 단절되거나 폐쇄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피 겨스케이팅 지도자 내부의 사회적 관계는 강한 유유상종 현상이 나타났으며, 외부의 사회적 관계는 단절되거나 폐쇄적인 관계가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ocial relationships of figure skating instructors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A sample of 65 participants was selected via purposive sampling among instructors of Korean Figure Skating in 2014. Data were collected with a survey involving questions designed by the researchers about social relationships and social capital. Collected data were used to analyze the centrality and cohesiveness of close instructors and mentor instructors by using programs for social network analysis such as UCINET6, NetDraw, and PNet. Results revealed homophily via the instructors’ using the same ice rinks, originating from the same hometown, and being students under the same teacher, all of which strengthened social relationships among them. Instructors with high centrality possessed high social capital, often associated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close instructors and mentor instructors. However, social relationships among instructors were also highly disconnected and closed. In sum, figure skating instructors have stronger social relationships due to homophily, yet show disconnected, closed relationships with instructors from other social relationship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Ⅲ.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교체육에서의 ‘통합체육교육’의 재개념화
- 피겨스케이팅 지도자의 사회적 관계 분석:
- 초등영어 수행평가의 운영 현황과 교사 및 학생의 인식
- 자기주도적 학습전략 훈련을 연계한 지역수준 영어교육정책의 적용 사례연구
- 공감기반 학습모형을 적용한 중학교 도덕과 수업의 효과 분석
- 학습계약에 기반한 개별 탐구학습이 여중생의 문제해결력과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
- ‘동료교원 교원능력개발평가’에 대한 초등학교 교원의 태도탐구
- 2008 대입정책과 논술 사교육
-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향유신념의 매개효과
- 델파이 연구를 통한 공학 창의성 구인 탐색
- 교과별 정의적 영역의 의미와 요소
-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통합교과 교육과정의 적용에 대한 인식 분석
- 학교의 교육적 기능 회복 담론 형성을 위한 시론적 연구: 학교생활 통제를 중심으로
- 공공 건축물과 창작무용공연을 연계한 어린이 통합교육 사례
- 학습자 참여도 증진을 위한 피드백 구조의 다각화 방안
- 통합적 탐구를 지향하는 고등학교 과학 및 사회교육과정의 성취기준 분석
- 지방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진로결정수준, 진로태도성숙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계속성과 계열성 측면에서 초·중·고 학생들의 체육수업 선호 요인 연구
- 영아교사의 식생활 습관 및 영양지식이 영아 급식지도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생의 분노조절 능력 향상을 위한 독서치료 활용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 문제기반학습에 의한 융복합교육 프로그램 효과 연구
- 유아교사의 교수몰입과 행복플로리시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
- 교육과정 개발에서 듀이의 경험과 브루너의 내러티브 이론의 상생 가능성
- 여자중학생들의 학교성교육경험, 성지식 및 성교육요구도
- IPA를 활용한 유아사회성 촉진전략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분석
- 한국어 쓰기 교육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시각장애 연구의 방향성 제시를 위한 관련 학술지 게재 논문 동향 분석 (2020년~2024년‘시각장애연구’발행호를 중심으로)
- 오케스트라에서 시각장애학생을 지도한 교사의 자문화기술지
- 점자교원 자격제도 및 점자능력 검정시험 개발을 위한 델파이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