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교사의 교수몰입과 행복플로리시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
이용수 739
- 영문명
- The moderation role of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flow and Flourishing in Early Childhood Teacher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탁정화(Tak Jeong hwa)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5권 3호, 235~264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3.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교수몰입이 행복플로리시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 서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유아교사 36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를 실시하였다. 유아교사의 교수몰입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송주연(2014)의 척도를, 행복플로리시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Bulter과 Kern(2014)의 척도를, 유아교사의 회복 탄력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김주환(2011)이 개발한 성인용 회복탄력성(KRQ-53)를 사용하였다. 첫째, 유아교사의 교수몰입, 회복탄력성 정도는 보통 이상인 것으로 나 타났으며 행복플로리시는 다소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교수몰 입, 행복플로리시, 회복탄력성은 서로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셋째, 유아교사의 교수 몰입과 행복플로리시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은 유사조절변수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 행복플로리시 하위요인 중 회복탄력성이 긍정적 정서, 긍정적 관계, 삶의 만 족도에서 조절변수로 작용하였으나 몰입, 의미, 성취에서는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ing role of the resili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relation to the influence of their flourishing on teaching flow. 365 early childhood teachers in Busan, Ulsan and South Gyeongsang province were the subjects in this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by hierarchical regression using the SPSS program. As a result, the level of awareness about their own teaching flow, flourishing, resilience was above average.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teaching flow and flourishing, teaching flow and resilience, flourishing and resilience. Finally, the resilience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found to have a moder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teaching flow and flourishing. The findings of this studies are expected to suggest how to promote the flourishing of early childhood teacher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 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교체육에서의 ‘통합체육교육’의 재개념화
- 피겨스케이팅 지도자의 사회적 관계 분석:
- 초등영어 수행평가의 운영 현황과 교사 및 학생의 인식
- 자기주도적 학습전략 훈련을 연계한 지역수준 영어교육정책의 적용 사례연구
- 공감기반 학습모형을 적용한 중학교 도덕과 수업의 효과 분석
- 학습계약에 기반한 개별 탐구학습이 여중생의 문제해결력과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
- ‘동료교원 교원능력개발평가’에 대한 초등학교 교원의 태도탐구
- 2008 대입정책과 논술 사교육
-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향유신념의 매개효과
- 델파이 연구를 통한 공학 창의성 구인 탐색
- 교과별 정의적 영역의 의미와 요소
-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통합교과 교육과정의 적용에 대한 인식 분석
- 학교의 교육적 기능 회복 담론 형성을 위한 시론적 연구: 학교생활 통제를 중심으로
- 공공 건축물과 창작무용공연을 연계한 어린이 통합교육 사례
- 학습자 참여도 증진을 위한 피드백 구조의 다각화 방안
- 통합적 탐구를 지향하는 고등학교 과학 및 사회교육과정의 성취기준 분석
- 지방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진로결정수준, 진로태도성숙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계속성과 계열성 측면에서 초·중·고 학생들의 체육수업 선호 요인 연구
- 영아교사의 식생활 습관 및 영양지식이 영아 급식지도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생의 분노조절 능력 향상을 위한 독서치료 활용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 문제기반학습에 의한 융복합교육 프로그램 효과 연구
- 유아교사의 교수몰입과 행복플로리시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
- 교육과정 개발에서 듀이의 경험과 브루너의 내러티브 이론의 상생 가능성
- 여자중학생들의 학교성교육경험, 성지식 및 성교육요구도
- IPA를 활용한 유아사회성 촉진전략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분석
- 한국어 쓰기 교육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A Translation Report on English-Chinese of Smart Thinking (Excerpts)
- Integrating the Spirit of the 20th National Congress of the CPC into the Teaching of Ideological and Political Courses in Higher Education: Reflections and Practices
- 플라톤의 「고르기아스」: 수사술과 논박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