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2008 대입정책과 논술 사교육
이용수 157
- 영문명
- College Essay Test and Private Institute Industry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미숙(Kim Mi sook)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5권 3호, 43~64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3.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2008 대입정책은 교육의 중심축을 사교육이 아닌 학교로 환원시키기 위해서 내신 비중을 높이고 수능등급제를 도입하였다. 주요 대학들은 수능등급제로 인한 학생변 별력 약화를 우려하면서 정시에서 논술비중을 높이겠다고 발표하였다. 이러한 대입 전형의 변화들이 논술 사교육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입시학원관계자와의 면 담을 통해서 조사하였다. 정부는 논술전형이 선다형 시험으로는 평가하기 어려운 비 판적 분석적 종합적 사고력을 평가할 수 있다고 하였다. 하지만 대학들은 평가의 객 관성을 위해서 긴 하나의 논설문을 요구하기보다 짧게 몇 문제로 나누어 답을 쓰거 나 요약을 하게 하였다. 이러한 출제 경향에 대하여 학원에서는 짧은 시간에 “훈련” 을 통해서 점수를 올릴 수 있는 형태라서 가르치기 더욱 편하다고 인식했다. 현재까 지 유사한 출제 경향이 지속되고 있고, 학교에서는 논술고사에 큰 도움을 주지 못하 는 실정이라서 학생들의 사교육 의존이 매우 높다. 이는 사교육 지출이 가능한 집단 에게 유리한 상황이 된다. 따라서 대학과 정부에서 이 점을 고려하여 논술전형을 개 선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In the 2008 college admission policy, increase in the proportion of high school academic records and classification of scholastic achievement test records in university entrance procedure was introduced in the intention to bring the core of education back into school grounds. In response to this policy changes, the major universities have announced to increase the proportion of essay writing examinations, in concern of the difficulty that might rise in distinguishing students of high academic abilities from those who are not. Through an interview with a person occupied in university entrance private institute industry, the influence that changes in educational policy has on the essay writing private institute industry has been investigated. The government has claimed that universities may utilize essay writing examinations as a complement of the multiple-choice academic achievement exam, which is not a sufficient tool to measure the critical, creative, and logical thinking abilities of students. However, the voice of private institutes insists that the ability of writing logical essays may be improved to a certain level, though it not something that can be improved in a short period, and the key to the secret was problem-solving skills . Also, the recent tendency of essay writing exam questions are more convenient to those in the industry since question forms that require writing short answers to several questions or summarizing the article rather than those that require writing a long essay are forms that can enable a rise of exam scores in a relatively short period through training . The educational meaning and the policy task of this phenomenon in the private institute industry has been discussed in the conclusion part of this article.
목차
Ⅰ. 문제제기
Ⅱ. 연구내용 및 방법
Ⅲ. 2008 대입정책이 논술사교육 시장에 미친 영향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교체육에서의 ‘통합체육교육’의 재개념화
- 피겨스케이팅 지도자의 사회적 관계 분석:
- 초등영어 수행평가의 운영 현황과 교사 및 학생의 인식
- 자기주도적 학습전략 훈련을 연계한 지역수준 영어교육정책의 적용 사례연구
- 공감기반 학습모형을 적용한 중학교 도덕과 수업의 효과 분석
- 학습계약에 기반한 개별 탐구학습이 여중생의 문제해결력과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
- ‘동료교원 교원능력개발평가’에 대한 초등학교 교원의 태도탐구
- 2008 대입정책과 논술 사교육
-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향유신념의 매개효과
- 델파이 연구를 통한 공학 창의성 구인 탐색
- 교과별 정의적 영역의 의미와 요소
-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통합교과 교육과정의 적용에 대한 인식 분석
- 학교의 교육적 기능 회복 담론 형성을 위한 시론적 연구: 학교생활 통제를 중심으로
- 공공 건축물과 창작무용공연을 연계한 어린이 통합교육 사례
- 학습자 참여도 증진을 위한 피드백 구조의 다각화 방안
- 통합적 탐구를 지향하는 고등학교 과학 및 사회교육과정의 성취기준 분석
- 지방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진로결정수준, 진로태도성숙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계속성과 계열성 측면에서 초·중·고 학생들의 체육수업 선호 요인 연구
- 영아교사의 식생활 습관 및 영양지식이 영아 급식지도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생의 분노조절 능력 향상을 위한 독서치료 활용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 문제기반학습에 의한 융복합교육 프로그램 효과 연구
- 유아교사의 교수몰입과 행복플로리시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
- 교육과정 개발에서 듀이의 경험과 브루너의 내러티브 이론의 상생 가능성
- 여자중학생들의 학교성교육경험, 성지식 및 성교육요구도
- IPA를 활용한 유아사회성 촉진전략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분석
- 한국어 쓰기 교육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International Academic Tribune Vol.2 No.2 Contents
- The Granular Representation of Syntactic Cartography
- A Translation Report on English-Chinese of Smart Thinking (Excerpt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