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생의 팀 기반 프로젝트 학습에서 학습성과에 대한 협력적 자기효능감, 팀 효능감, 팀 상호작용 간 관계
이용수 2,265
- 영문명
- The Relationship among Self-efficacy for Group Work, Team Efficacy, Interaction, and Team Performance in Team Project-based Learning in a College Classroom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유지원(You, Ji Wo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4권 10호, 89~11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0.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최근 대학교육 현장에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팀 기반 프로젝트 학습에서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들 간의 직·간접 관계를 살펴보고자 수행되었다. 팀 기반 프로젝트 학습성과 변인은 팀 학습 만족도와 팀 성취로 구분하였고, 선
행요인은 이론적 고찰을 통해 협력적 자기효능감, 팀 효능감, 팀 상호작용을 선정하여 가설적 경로모형을 상정하였다. 특히 팀 효능감과 팀 상호작용은 협력적 자기효능감과 학습성과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검증하였다. 연구를 위해 4년제 여자대학
교에서 팀 기반 프로젝트 학습을 수행한 66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여. 경로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팀 효능감은 팀 학습 만족도(β = .47)와 팀 성취(β = .29)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팀 상호작용은 팀 학습 만족도(β = .22)와 팀 성취(β = .42)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협력적 자기효능감은 직접적으로 팀 효능감 강화(β = .32)에 유의했으며, 간접적으로 팀 학습 만족도(β = .20)와 팀 성취도(β = .18) 향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팀기반 프로젝트 학습성과를 제고하는데 팀원들이 지각하는 팀 효능감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프로젝트 결과물 산출에 상호작용이 주요 요인임을 시사한다. 또한 협력에 의한 학습활동에서 협력적 자기효능감이 학습과정 요인과 성과 요인에 유의한 선행요인임을 확인함으로써 협력적 자기효능감에 대한 필요성과 역할을 살펴본 점에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self-efficacy for group work, team efficacy, interaction among team members, and team performance in team project-based learning. The individual team learning satisfaction and the team achievement of project outcome were determined for team performance. The
proposed path model posited that self-efficacy for group work influenced team efficacy and the level of team interaction, and team efficacy and team interaction influenced team learning satisfaction and team achievement. The model was tested with 66 college students who participated team project-based learning at a four-year
traditional university in Korea. Path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search variables. The results showed that team efficacy and interaction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influenced both team learning satisfaction and team achievement. Furthermore, self-efficacy for group work was a significant
predictor to team efficacy and indirectly influenced team learning satisfaction and team achievement. The implications of enhancing team performance were discussed based on the finding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IV. 연구결과
V.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학생의 방과후 스포츠활동 참여정도와 공격성 그리고 학교폭력태도간의 관계
- 어머니 대상 비폭력대화 프로그램이 중학생 자녀의 어머니와의 관계 및 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
- 페이스북을 활용한 대학수업에서 상호의존성, 동료간 친밀성, 지각된 유용성이 학습태도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자율성지지와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자기주도학습에 미치는 영향
- 예비체육교사들의 교육봉사활동 정서적 경험 이해
- 다문화 교육의 범주에 따른 그림책 활용 방법
- 유아의 정서지능과 자아존중감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축구 실기 및 지도법’ 수업에서 초등예비교사의 인식과 실천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초등학교 국가 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국어과 쓰기 영역의 문항 분석과 개선 방안
-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인터넷 글쓰기 양상에 대한 연구
- 교육본위론에 기초한 실과 교육 소재의 범주화
- 대학생의 교육기부 활동에 관한 인식 조사
- 스마트교육이 스마트기기 사용관련 역기능 문제에 미치는 영향
- 창의․인성 함양을 위한 사회과 블렌디드 액션러닝 프로그램 개발
- STEAM교육을 실행한 중등교사의 융합교육에 대한 인식
- 교사의 수업문화 차원과 요인 탐색
- 일반청소년과 교정시설청소년의 부모지지와 진로결정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과학중점학교 운영 현황에 관한 사례연구
- 북한이탈주민의 언어 교육을 위한 교재 개발 현황
- 대학생의 팀 기반 프로젝트 학습에서 학습성과에 대한 협력적 자기효능감, 팀 효능감, 팀 상호작용 간 관계
- 초등학교 기계체조 활동과제평가지(Ⅱ) 개발
- 고등학생의 학교스포츠클럽활동 참여와 공격성 및 자아탄력성의 관계 분석
- 학습자중심 다문화 교육과정의 개발 방향 탐색
- 누리과정에 기초한 수업목표 및 발문분석
- 기후변화 교육 방향 탐색을 위한 2009개정 중학교 과학과 교과서 내용 분석
- 인성교육 체육수업의 개발과 적용
- 예비교사들의 교직소명감, 자아존중감, 교직인성과의 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대학에서 교양 법학 교육의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개정 누리과정 기반 수업설계 경험과 배움 의미 탐색
-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활용한 학생의 사회정서역량의유형 분류 및 영향요인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