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학생의 방과후 스포츠활동 참여정도와 공격성 그리고 학교폭력태도간의 관계
이용수 306
- 영문명
- An Examination of Model Among Extra-curricular Sports Participation Degree and Aggression and School Violence Attitudes in Youth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소미(Lee, So Mi)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4권 10호, 501~513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0.3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이에 본 연구는 중학생의 방과후 스포츠활동 참여정도와 공격성, 그리고 학교폭력태도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서울시 중학교에 재학중인 학생 211명을 표집하여 설문응답을 받은 후 SPSS20.0 & AMOS 18.0. 프로그램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방과후 스포츠활동 참여정도와 공격성 및 학교폭력태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중학생의 스포츠참여정도는 학교폭력태도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러나 공격성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셋째, 공격성은 학교폭력태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중학생의 방과후 스포츠활동 참여정도는 청소년 개인의 공격성에 따라 학교폭력태도가 달라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중학생에게 공격성을 조절할 수 있는 스포츠활동 참여를 장려함으로써 학교폭력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서로 배려하는 학교를 만들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examination of model among extra-curricular sports participation degree and aggression and school violence attitudes in youth. For the study subjects,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up to students in middle school in Seoul, and total 211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data treatment, the
statistical methods used for analyzing the data were the frequency, reliability, correlation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by using with SPSS20.0 & AMOS 18.0. The finding of this study were follows. First, the extra-curricular sports participation degree in youth positively affected the aggression.
Second, the extra-curricular sports participation degree in youth didn t affected school violence attitudes. but it affected school violence attitudes indirectly.
Third, the aggression positively affected the school violence attitud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학생의 방과후 스포츠활동 참여정도와 공격성 그리고 학교폭력태도간의 관계
- 어머니 대상 비폭력대화 프로그램이 중학생 자녀의 어머니와의 관계 및 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
- 페이스북을 활용한 대학수업에서 상호의존성, 동료간 친밀성, 지각된 유용성이 학습태도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자율성지지와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자기주도학습에 미치는 영향
- 예비체육교사들의 교육봉사활동 정서적 경험 이해
- 다문화 교육의 범주에 따른 그림책 활용 방법
- 유아의 정서지능과 자아존중감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축구 실기 및 지도법’ 수업에서 초등예비교사의 인식과 실천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초등학교 국가 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국어과 쓰기 영역의 문항 분석과 개선 방안
-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인터넷 글쓰기 양상에 대한 연구
- 교육본위론에 기초한 실과 교육 소재의 범주화
- 대학생의 교육기부 활동에 관한 인식 조사
- 스마트교육이 스마트기기 사용관련 역기능 문제에 미치는 영향
- 창의․인성 함양을 위한 사회과 블렌디드 액션러닝 프로그램 개발
- STEAM교육을 실행한 중등교사의 융합교육에 대한 인식
- 교사의 수업문화 차원과 요인 탐색
- 일반청소년과 교정시설청소년의 부모지지와 진로결정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과학중점학교 운영 현황에 관한 사례연구
- 북한이탈주민의 언어 교육을 위한 교재 개발 현황
- 대학생의 팀 기반 프로젝트 학습에서 학습성과에 대한 협력적 자기효능감, 팀 효능감, 팀 상호작용 간 관계
- 초등학교 기계체조 활동과제평가지(Ⅱ) 개발
- 고등학생의 학교스포츠클럽활동 참여와 공격성 및 자아탄력성의 관계 분석
- 학습자중심 다문화 교육과정의 개발 방향 탐색
- 누리과정에 기초한 수업목표 및 발문분석
- 기후변화 교육 방향 탐색을 위한 2009개정 중학교 과학과 교과서 내용 분석
- 인성교육 체육수업의 개발과 적용
- 예비교사들의 교직소명감, 자아존중감, 교직인성과의 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시나리오 기반 건강사정 실습 교육의 효과
-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일의 의미가 조용한 사직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합창 수업 맥락에서 SEL 평가도구의 적용 가능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