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 of 2009-revision for Climate Change Educat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오윤정(Oh, YoonJeong) 최규리(Choi, Kyoule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4권 10호, 111~13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0.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 교육의 방향을 탐색하고자 2009개정 중학교 과학과 교과서에 수록된 기후변화 관련 내용을 분석하였다. IPCC 제5차 평가보고서를 바탕으로 기후변화의 과학적 근거, 기후변화 완화, 기후변화 대응을 고려한 분석틀을 개발하
고 이 분석틀을 이용하여 2009개정 중학교 과학과 교과서 1, 2, 3학년 총 26권에 반영된 기후변화 교육 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첫째, 기권을 다루는 2학년 과학과 교과서, 지구계와 수권을 다루는 1학년 교과서에 기후변화 관련 내용이 다수
수록되어 있었다. 둘째, 지구 온난화 및 탄소 순환 관련 내용을 주로 다루고 있었다.
셋째, 제시한 관측 자료를 분석할 것을 요구하거나 자연현상으로서 기후변화를 제시하는 형태가 주로 나타났다. 이에 중학교 과학과에서는 해양과 빙권 등 다양한 주제, 기후변화가 야기한 변화와 미래를 위한 대응, 지식과 실천을 아우르는 여러 활동을
고려하여 기후변화 교육을 계획하고 실행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contents on climate change in the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of 2009-revision to find desirable orientation of climate change education.
Analysis criteria were developed based on IPCC fifth assessment reports considering the physical science basis of climate change, climate mitigation, climate response.
Total of 26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of 2009-revision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climate change content was mainly included in unit of atmosphere in 2nd grade science textbooks and unit of earth system and hydrosphere in 1st grade textbooks. Second, global warming and carbon cycle content
was mainly included. Third, analysis of climate change observational data or climate change as natural phenomena were appealed. Therefore, it needs to design and implement climate change education considering diverse topics such as ocean and cryosphere, changes caused by climate change, and responses for future.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lll.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일반청소년과 교정시설청소년의 부모지지와 진로결정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어머니 대상 비폭력대화 프로그램이 중학생 자녀의 어머니와의 관계 및 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
- 유아의 정서지능과 자아존중감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기계체조 활동과제평가지(Ⅱ) 개발
- 예비체육교사들의 교육봉사활동 정서적 경험 이해
- 다문화 교육의 범주에 따른 그림책 활용 방법
- 중학생의 방과후 스포츠활동 참여정도와 공격성 그리고 학교폭력태도간의 관계
- 북한이탈주민의 언어 교육을 위한 교재 개발 현황
-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인터넷 글쓰기 양상에 대한 연구
- 학습자중심 다문화 교육과정의 개발 방향 탐색
- 기후변화 교육 방향 탐색을 위한 2009개정 중학교 과학과 교과서 내용 분석
- 과학중점학교 운영 현황에 관한 사례연구
- 고등학생의 학교스포츠클럽활동 참여와 공격성 및 자아탄력성의 관계 분석
- ‘축구 실기 및 지도법’ 수업에서 초등예비교사의 인식과 실천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교육본위론에 기초한 실과 교육 소재의 범주화
- 초등학교 국가 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국어과 쓰기 영역의 문항 분석과 개선 방안
- STEAM교육을 실행한 중등교사의 융합교육에 대한 인식
- 교사의 수업문화 차원과 요인 탐색
- 대학생의 팀 기반 프로젝트 학습에서 학습성과에 대한 협력적 자기효능감, 팀 효능감, 팀 상호작용 간 관계
- 인성교육 체육수업의 개발과 적용
- 페이스북을 활용한 대학수업에서 상호의존성, 동료간 친밀성, 지각된 유용성이 학습태도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자율성지지와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자기주도학습에 미치는 영향
- 예비교사들의 교직소명감, 자아존중감, 교직인성과의 관계
- 누리과정에 기초한 수업목표 및 발문분석
- 창의․인성 함양을 위한 사회과 블렌디드 액션러닝 프로그램 개발
- 대학생의 교육기부 활동에 관한 인식 조사
- 스마트교육이 스마트기기 사용관련 역기능 문제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