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코퍼스를 이용한 『にくい』『づらい』『がたい』에 관한 의미 분석
이용수 37
- 영문명
- A Corpus Based Semantic Analysis of -Nikui, -Zurai, and -Gatai
- 발행기관
- 일본어문학회
- 저자명
- 공미희(Kong, Mi-Hee) 손동주(Son, Dong-Ju)
- 간행물 정보
- 『일본어문학』日本語文學 第79輯, 1~2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일본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1.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Based on BCCWJ, the present study explores how the three forms ‐nikui, ‐ zurai, and –gatai are used in actual texts and what semantic properties each form exhibits.
‐Nikui is connected to volitional verbs or non‐volitional verbs and indicates difficulty in realizing and changing actions. As a result of detailed analysis of the object of the connected verb, first, when the body, substance, transportation machinery, abstract nouns come to the object, they mainly showed physical difficulties. Second, it shows physiological difficulties. Third, when abstract nouns, people, and emotional nouns come to the subject, they showed psychological difficulties.
‐Zuraialso showed difficulty in realizing and continuing the actions connected with non‐volitional verbs unlike the previous study of connecting to volitional verbs only.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orpus, I found that physical and
mental causes are included on the subject who has a difficulty in realizing and changing actions.
Although it was confirmed by the corpus that ‐gatai with the volitional verb, I was able to understand through rare examples that there are cases in which it is sometimes rarely connected with non‐volitional verb but may occasionally be connected.
목차
1. 들어가기
2. 선행연구의 분석
3. 조사방법과 의미 분석
4. 『 にくい』『づらい』『がたい』의 차이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추량표현 『そうだようだらしい』의 한국어 대응연구
- 『노르웨이의 숲 』의 번역에 대하여
- 희생자 시점의 반전시
- CM作り活動の試み
- 黒猫小考
- 아쿠타가와(芥川)의 『아키(秋)』小考
- 코퍼스를 이용한 『にくい』『づらい』『がたい』에 관한 의미 분석
- 平安朝文学における桃·梨のイメージ
- 幕末浮世絵師の現代感覚
- 엔도 슈사쿠(遠藤周作) 문학과 무의식의 세계
- 칙찬한시집의 하양( 河陽)시 연구
- ‘나’라는 소설가, 다시 만들어지다
- 근대일본의 朝鮮史만들기와 역사왜곡 실태분석
- 한 일 커뮤니케이션 관련 수업의 실제
- 日·韓 受動形自動詞의 用法 對照硏究
- 川島浪速の思想と行動に関する一考察
- 『季刊三千里』における日本進歩的知識人の「在日朝鮮人観」
- 일본 고전문학과 향(香 )
- 일본의 고령화와 공민관의 역할
- Twitterと国会会議録における敬語の形と使用頻度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