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Influence of Corporate Image Association on Consumer Product Evaluation : The Moderating Role of Cognitive Style
- 발행기관
- 한국상품학회
- 저자명
- 허정(Hur Chung) 여찬구(Yeo Chan Koo)
- 간행물 정보
- 『상품학연구』제35권 제2호, 103~115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4.3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좋은 기업 이미지를 구축하는 것은 기업의 수익과 직결되는 중요한 문제이기 때문에 어떻게 호의적인 이미지를 구축하고 활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기업 이미지 연상과 관련된 기존 연구 중 기업 연상을 기업 능력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연상으로 구분하여, 각 유형의 차별적인 효과를 규명한 연구들이 일부 존재한다. 그러나 기존 연구에서는 주로 기업 능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기업과 제품 관련 간섭 요인에 대해 그 효과를 확인하였을 뿐 문화 및 문화적 요소 등의 거시적 변수들이 해당 연상에 미치는 상호작용의 영향에 대해서는 연구가 부족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 이미지 연상 효과가 기업이 유도하는 소비자의 사고방식에 따라 조절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고 그 내용을 실험을 통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실험은 기업 이미지 연상(기업능력,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사고방식의 점화(전체적 사고, 분석적 사고) 그리고 기업 유형(가상기업, 실제기업)의 2×2×2 집단 간 설계를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기업 이미지 유형과 사고방식 유형 간 상호작용은 기업 선호도, 제품구매의도에서 유의함을 확인하였다. 분석적 사고로 점화된 피험자들은 기업 능력을 강조하는 광고를 보았을 때 상대적으로 기업에 대한 선호도 및 해당 기업의 제품구매의도를 더 호의적으로 표현했으며, 전체적 사고로 점화된 피험자들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는 광고를 보았을 때 상대적으로 기업에 대한 선호도 및 해당 기업의 제품구매의도를 더 호의적으로 표현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전략 수립과 관련한 소비자 사고방식의 시사점을 언급하고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Building a good corporate image is an important issue since it directly affects the profitability of the company. There are several studies that have identified differential effects by distinguishing corporate image associations between corporate ability an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However, the previous research has been confirmed that only the effect of the intervention factors fromthe firmand the product side, whichmainly affect the firmability. There is a need for research on the influence of the interaction of themacro variables such as culture and cultural factors.
In this study, we tried to verify the interaction effect of corporate image association and cognitive style on the corporate evaluation, product purchase intention, and intention to recommend.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using 2(corporate image association: corporate ability,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 2(cognitive style: analytical thinking, holistic thinking) × 2(brand: real brand, hypothetical brand) between-subjects design. As a result, the interaction between corporate image type and cognitive style is significant on corporate evaluation and product purchase intention. The subjects who were primed by the analytical thinking evaluated the company preference and product purchase intention more favorably when they watch the advertisement emphasizing the corporate ability. And the subjects who were primed by the holistic thinking evaluated the company preference and product purchase intention more favorably when they watch emphasizing th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about brand communication strategy and limitations of research and future directions of researchwere discussed.
목차
국문초록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실증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인삼제품 수출장애요인 분석을 통한 마케팅 전략
- 고객등급에 따른 온라인 구매후기의 설득지식 발생에 대한 연구
- The Effect of the External Technology Collaboration Network Diversity on SMEs’Production Process Improvement and Cost Reduction: The Moderating Role of the Use of the External Information
- 지역은행서비스 산업의 효율성 결정요인에 대한 연구
- 기업위기에 대한 심리적 메커니즘 고찰
- 신뢰와 진정성이 대형마트 이용고객의 불평행동과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문화예술을 이용한 CSR 활동의 임직원 참여 효과
- 학교문화예술교육을 위한 미술수업이 학습자의 문화예술역량에 미치는 영향
- 가산자료모형을 이용한 항공수요 결정요인 분석
- 가격할인에 대한 사고방식의 영향
- SNS에서의 메시지 유형이 공공기관브랜드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 기업 이미지 연상이 제품평가에 미치는 영향
- 다세대 주택에 대한 부정적 긍정적 인식
- 중소기업 마케팅 지원사업에 대한 통합적 접근
- 광고 모델 적합성이 소비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Qualitative Study on Class on Cultural Assets using 3D Printer : Centering on Classes for Fifth and Sixth Grade Students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 근로시간 단축(주 4일제) 관련 글로벌 동향 분석과 변화 방향 제언
- 직무만족, 조직몰입, 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련성 -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 소비자의 ESG경영요구가 ESG경영지지에 미치는 영향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국내 경영학계 리더십 연구의 동향과 과제: 학술지 「경영학연구」,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인사조직연구」를 중심으로
- 리더는 어떻게 영향력을 행사해야 하는가? 영향력 전술에서 직무 요구와 리더 역량의 역할
- Demotivational Mechanism of Supervisor Close Monitoring: Exacerbating Effect of Supervisor Task Performance and Subordinate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