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Negative and Positive Attitude toward Multiplex Housing
- 발행기관
- 한국상품학회
- 저자명
- 박성용(Park Seong Yong) 김형근(Kim Hyoung Geun)
- 간행물 정보
- 『상품학연구』제35권 제2호, 97~102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4.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다세대 주택은 시민들의 거주 형태로서 아파트와 함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지만, 아파트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부정적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부정적 인식은 가격이 저렴한 다세대 주택이 가지고 있는 요인들에 기인할 수도 있지만 소비자들의 인식, 경험의 차이에 의해 야기될 가능성도 존재한다. 특히 부정적 선입견 또는 경험을 가진 소비자들은 부정적인 측면을 강하게 평가하고, 긍정적인 측면을 약하게 평가할 가능성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다세대 주택의 인식적인 측면의 제고는 쉽지 않다는 점이다. 이 연구에서는 부정적 인식을 가진 소비자와 긍정적 인식을 가진 소비자를 구분하고, 왜 소비자들이 부정적 , 긍정적 인식을 가지는 가를 고려하고, 부정적 인식을 가진 소비자들이 다세대 주택이 가지고 있는 부정적인 측면을 더 부정적으로 평가하고, 긍정적인 측면을 더 낮게 평가하는 지를 실증적으로 조사한다.
“다세대주택에 대한 거주 경험이 있는 소비자들이 거주경험이 없는 소비자들에 비해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을 것이다”와 “다세대 주택에 대한 거주 경험이 없는 소비자들이 거주 경험이 있는 소비자들에 비해 더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을 것이다”라는 연구문제를 설정하고 실증분석을 통해 검증해 본다. 응답자들을 부정적 인식과 긍정적 인식 집단으로 구분하고 각 집단이 왜 그런 인식을 보유하는 가를 살펴보고, 다세대 주택이 가지고 있는 장점에 대한 집단 비교를 실시하였다. 다세대 주택 장점에 대한 집단 비교는 사용 경험이 없었던 소비자들이 사용경험이 있는 소비자들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평가를 보여준다. 긍정적 인식 집단과 부정적 인식집단은 현재 어디에 거주 하는 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아파트 거주자와 다세대 주택거주자들로 구분한 이후에 이들이 가지고 있는 다세대 주택에 대한 긍정적 인식과 부정적 인식에 대한 워드 클라우드 분석을 시도하였다.
영문 초록
Multi-families home or Multi-plex homes comprise major portion of cities area along with apartment. In spite of these roles, public has very negative perceptions on mut-families home by focusing on the alternative, apartment. It is interesting to see why this phenomenon occurs and persist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positive aspects of themas well as negative aspects. In particular, the reasons for this under-estimation could be frommany different sources. We use brand preference differences and user experiences as theoretical constructs behind this phenomenon.
If we consider user and non-user classification, there could be differences in perceptions as shown in the previous studies onmany different product categories. That is the reason that it is quite necessary to distinguish user and non-user. It is possible to induce users might have higher or better images than non-users. Furthermore, non-users might have lower or worse images and evaluate lower for the advantages of multi-families home and disadvantages of apartment. Using the word-cloud analysis shows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multi-families home. Images could be shown using the frequencies of words that describe the objects. This reverse halo effect explain the perception problems ofmulti-families home. Empirical investigation proves this phenomenon.
목차
국문초록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문제
Ⅳ. 실증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인삼제품 수출장애요인 분석을 통한 마케팅 전략
- 고객등급에 따른 온라인 구매후기의 설득지식 발생에 대한 연구
- The Effect of the External Technology Collaboration Network Diversity on SMEs’Production Process Improvement and Cost Reduction: The Moderating Role of the Use of the External Information
- 지역은행서비스 산업의 효율성 결정요인에 대한 연구
- 기업위기에 대한 심리적 메커니즘 고찰
- 신뢰와 진정성이 대형마트 이용고객의 불평행동과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문화예술을 이용한 CSR 활동의 임직원 참여 효과
- 학교문화예술교육을 위한 미술수업이 학습자의 문화예술역량에 미치는 영향
- 가산자료모형을 이용한 항공수요 결정요인 분석
- 가격할인에 대한 사고방식의 영향
- SNS에서의 메시지 유형이 공공기관브랜드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 기업 이미지 연상이 제품평가에 미치는 영향
- 다세대 주택에 대한 부정적 긍정적 인식
- 중소기업 마케팅 지원사업에 대한 통합적 접근
- 광고 모델 적합성이 소비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Qualitative Study on Class on Cultural Assets using 3D Printer : Centering on Classes for Fifth and Sixth Grade Students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 근로시간 단축(주 4일제) 관련 글로벌 동향 분석과 변화 방향 제언
- 직무만족, 조직몰입, 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련성 -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 소비자의 ESG경영요구가 ESG경영지지에 미치는 영향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국내 경영학계 리더십 연구의 동향과 과제: 학술지 「경영학연구」,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인사조직연구」를 중심으로
- 리더는 어떻게 영향력을 행사해야 하는가? 영향력 전술에서 직무 요구와 리더 역량의 역할
- Demotivational Mechanism of Supervisor Close Monitoring: Exacerbating Effect of Supervisor Task Performance and Subordinate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