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rends and Challenges of Leadership Research within Korean Management Academia: A Systematic Review from the Korean Management Review, Journal of Organization and Management, and Korean Journal of Management
- 발행기관
- 한국인사관리학회
- 저자명
- 최우재(WooJae Choi) 양재완(Jaewan Yang) 김민경(Minkyung Kim)
- 간행물 정보
- 『조직과 인사관리연구』제49집 3권, 1~32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국내 경영학계에서 이루어진 리더십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고, 향후 연구 과제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경영학연구」,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인사조직연구」 3개의 학술지에게재된 리더십 관련 논문들을 체계적으로 검토하였다. 지금까지 국내 리더십 연구는 주로 실증연구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으며, 리더십 연구 전반을 통합적으로 조망하는 시도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본 논문은 리더십 연구의 전반적인 현황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목적에 맞게 중심이론, 분석의 수준, 연구 대상, 자료원천, 시간차원, 타당성분석, 가설검증방법 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보면 중심이론은 네오카리스마이론이 지배적인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개인 수준의 연구, 민간 기업 대상의 연구, 동일시점 측정, 회귀분석을 통한 가설검증과 같은 전형적인 방식의 연구 패턴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국내 리더십 연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current trends in leadership research within the Korean management academia and proposes directions for future development. To achieve this objective, leadershiprelated articles published in three major academic journals-Korean Management Review, Journal of Organization and Management, and Korean Journal of Management-were reviewed and systematically analyzed.
To date, leadership research in Korea has predominantly focused on empirical studies, with relatively few efforts to provide an integrated overview of the field. Addressing this gap, the present study seeks to offer an objective assessment of the current state of leadership research and to derive meaningful implications for advancing leadership scholarship in the field of management. The analysis examines key aspects including dominant theoretical frameworks, levels of analysis, research participants, data sources, time dimensions, validity assessments, and hypothesis testing methods.
The findings indicate that neo-charismatic leadership theory has been the prevailing theoretical framework. Most studies have focused on the individual level, investigated private-sector organizations, adopted cross-sectional research designs, and employed regression analysis for hypothesis testing.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offers recommendations for diversifying leadership research in Korea, with an emphasis on expanding theoretical perspectives, employing multi-level and longitudinal approaches, and exploring varied organizational contex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실증연구 분석
Ⅳ. 이론연구 및 기타유형연구 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국내 경영학계 리더십 연구의 동향과 과제: 학술지 「경영학연구」,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인사조직연구」를 중심으로
- 리더는 어떻게 영향력을 행사해야 하는가? 영향력 전술에서 직무 요구와 리더 역량의 역할
- Demotivational Mechanism of Supervisor Close Monitoring: Exacerbating Effect of Supervisor Task Performance and Subordinate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 Work-Family Facilitation and Performance: Mediation by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 조직구성원의 CSR 인식과 외부 이해관계자 대상 역할 외 행동: 조직평판유지우려와 집단주의 지향성의 역할
- 유노조 기업의 노사관계 특성이 산업재해에 미치는 영향: ‘노동조합의 두 얼굴’ 관점의 적용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 근로시간 단축(주 4일제) 관련 글로벌 동향 분석과 변화 방향 제언
- 직무만족, 조직몰입, 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련성 -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 소비자의 ESG경영요구가 ESG경영지지에 미치는 영향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국내 경영학계 리더십 연구의 동향과 과제: 학술지 「경영학연구」,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인사조직연구」를 중심으로
- 리더는 어떻게 영향력을 행사해야 하는가? 영향력 전술에서 직무 요구와 리더 역량의 역할
- Demotivational Mechanism of Supervisor Close Monitoring: Exacerbating Effect of Supervisor Task Performance and Subordinate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