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How Should Leaders Exert Influence? The Role of Job Demands and Leader Competence in Influence Tactics
- 발행기관
- 한국인사관리학회
- 저자명
- 이수진(Soojin Lee) 김진희(Jinhee Kim)
- 간행물 정보
- 『조직과 인사관리연구』제49집 3권, 33~66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리더의 효과성은 조직 구성원들이 업무에 몰입하도록 유도하는 영향력 행사 방식에 달려 있다. 그동안 리더의 영향력 전술에 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기존 연구의 실증 결과는 일관성이 부족하며, 상황적 조절 요인의 규명이 미흡한 측면이 있다. 이는 보다 포괄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할 뿐만 아니라, 구성원 관점에서 중요한 상황 요인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함을 의미한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적 정보처리 이론에 기반하여, Kipnis & Schmidt(1985)의 메타범주 구분을 바탕으로 강성적(hard), 연성적(soft), 합리적(rational) 영향력 전술이 구성원의 과업 성과에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들 관계에서 중요한 상황요인으로서 직무 요구와 리더 역량의 조절 효과를 실증적으로 검토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다양한 기업에 근무하는 조직 구성원과 그들의 직속 상사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들 응답을 서로 매칭한 결과 총 195 케이스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강성적 영향력 전술은 과업 성과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연성적 영향력 전술은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합리적 영향력 전술의 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조절 효과 분석에서는 직무 요구가 높을 경우, 강성적 영향력 전술의 부적영향이 완화되고 연성적 영향력 전술의 정적 영향이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리더 역량이 높은 경우에도 강성적 영향력 전술이 과업 성과에 미치는 부적 영향이 완화되었으며, 연성적 영향력 전술의 정적 영향이 강화되었다. 반면, 합리적 영향력 전술은 모든 조절 효과 분석에서 예상과 반대되는결과를 보여 관련 가설이 지지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영향력 전술에 대한 이론적 시사점과 더불어 리더의 영향력을 극대화하기 위한 실무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아울러,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effectiveness of a leader depends on how they exert influence to motivate organizational members to invest effort in their work. Despite significant advancements in research on leaders' influence tactics, inconsistencies in empirical findings from previous studies and the lack of identified moderating factors underscore the need for a more comprehensive and theoretically grounded approach. Additionally, it is crucial to identify key situational factors from the perspective of organizational members. Accordingly,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hard, soft, and rational influence tactics, categorized based on the meta-categories proposed by Kipnis and Schmidt (1985), on employees’ task performance. Furthermore, it empirically investigates the moderating effects of job demands and leader competence on these relationship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employees from multiple domestic companies and their immediate supervisors, yielding a final sample of 195 matched cases for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hard influence tactics had a negative effect on task performance, whereas soft influence tactics had a positive effect. However, the effect of rational influence tactics was not significant. Regarding the moderating effects, high job demands mitigated the negative impact of hard influence tactics on task performance while amplifying the positive effect of soft influence tactics. Similarly, when leader competence was high, the adverse effects of hard influence tactics were reduced, and the positive effects of soft influence tactics were enhanced. However, the hypothesized effects of rational influence tactics were not supported, as the results indicated an opposite directional effect.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discusses theoretical implications, practical strategies for enhancing leader influence,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hile also acknowledging its limitation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가설 설정
Ⅲ. 연구방법
Ⅳ. 결과
Ⅴ.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국내 경영학계 리더십 연구의 동향과 과제: 학술지 「경영학연구」,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인사조직연구」를 중심으로
- 리더는 어떻게 영향력을 행사해야 하는가? 영향력 전술에서 직무 요구와 리더 역량의 역할
- Demotivational Mechanism of Supervisor Close Monitoring: Exacerbating Effect of Supervisor Task Performance and Subordinate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 Work-Family Facilitation and Performance: Mediation by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 조직구성원의 CSR 인식과 외부 이해관계자 대상 역할 외 행동: 조직평판유지우려와 집단주의 지향성의 역할
- 유노조 기업의 노사관계 특성이 산업재해에 미치는 영향: ‘노동조합의 두 얼굴’ 관점의 적용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 근로시간 단축(주 4일제) 관련 글로벌 동향 분석과 변화 방향 제언
- 직무만족, 조직몰입, 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련성 -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 소비자의 ESG경영요구가 ESG경영지지에 미치는 영향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국내 경영학계 리더십 연구의 동향과 과제: 학술지 「경영학연구」,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인사조직연구」를 중심으로
- 리더는 어떻게 영향력을 행사해야 하는가? 영향력 전술에서 직무 요구와 리더 역량의 역할
- Demotivational Mechanism of Supervisor Close Monitoring: Exacerbating Effect of Supervisor Task Performance and Subordinate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