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객등급에 따른 온라인 구매후기의 설득지식 발생에 대한 연구

이용수  313

영문명
The Role of the Level of Consumer on the Effect of Persuasion Knowledge on the Online Reviews
발행기관
한국상품학회
저자명
손영석(Young seok Son) 남아영(Ah young Nam) 송시연(Sie yeoun Song)
간행물 정보
『상품학연구』제35권 제2호, 33~41쪽, 전체 9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4.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온라인 구매가 활성화됨에 따라 소비자의 구매후기 의존도도 더 커지고 있다. 기존연구와 다르게 본 연구는 긍정적 후기가 반드시 소비자에게 좋은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님을 보여주고자 한다. 특히 고객의 등급에 따라, 우수고객의 긍정적 후기는 일반고객의 후기보다 쇼핑몰 방문고객의 제품 태도 및 구매의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게 됨을 증명하고자 한다. 실험1은 긍정적 구매후기와 부정적 구매후기가 각각 2개로 동일한 경우, 우수고객의 파급효과를 알아보았는데, 실험결과, 긍정적 후기를 남긴 상위등급자의 글은 제품 호의도 및 구매의도에 있어서 일반등급이 쓴 글과 별다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실험 2는 구매후기의 구성을 긍정적 후기(3)+부정적 후기(1)로 다르게 하여, 등급의 효과를 알아보았다. 실험결과 이때는 실험1과 달리 상위 등급의 부정적 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설득지식 발생에 의한 것으로, 피험자는 상위등급자의 긍정적 후기에 대해 낮은 신뢰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상위등급자가 부정적 후기를 쓴 경우에는 일반등급자가 부정적 후기를 쓴 경우보다 더욱더 제품 호의도 및 구매의도가 낮게 나타나, 이때는 설득지식이 발생하지 않았고, 피험자는 상위등급자가 남긴 후기를 신뢰했다. 실험3은 이러한 설득지식이 상위등급자의 신뢰도를 높인 경우에는 발생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기존의 실험1과 2에서 사용한 상위등급자의 정의를 좀 더 신뢰성이 높도록 조작하였다. 그 결과, 신뢰성이 높아진 상위등급자가 남긴 긍정적인 글은 긍정적 단면후기라 할지라도 일반등급자가 남긴 글과 유사한 제품 태도 및 구매의도를 보였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proposes that positive online review does not always give good effect to consumer. Study 1 is to identify the effect on the high level loyalty consumer when there is equal ratio of positive/negative online review (2 each for positive/negative online review). As a result, it is found that positive online reviewby high level loyalty consumer does not givemuch difference to product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 than that of lowlevel loyalty consumer. Study 2 is to identify the effect on the high level loyalty consumerwhen there is higher ratio of positive online reviews than negative (3 positive &1 negative online review). The result showed that unlike study 1, there was negative effect to high level loyalty consumer review. This is due to the persuasion knowledge where subjects showed low trust to the positive online review by high level loyalty consumer. However, in the case when high level loyalty consumer provides negative online review, there is a tendency that product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 was much lower than the case when low level loyalty consumer provided negative online review. Study 3 is to showthat such persuasion knowledge does not occur when the level of trust for high level loyalty consumer is set to high, and to do so, the definition on the high level loyalty used for study 1 &2 has beenmanipulated to showhigher level of trust. As a result, the positive online reviewby high level loyalty consumerwith high trust showed similar product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 as that of lowlevel consumer.

목차

국문초록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실험 1
Ⅳ. 실험 2
Ⅴ. 실험 3
Ⅵ.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손영석(Young seok Son),남아영(Ah young Nam),송시연(Sie yeoun Song). (2017).고객등급에 따른 온라인 구매후기의 설득지식 발생에 대한 연구. 상품학연구, 35 (2), 33-41

MLA

손영석(Young seok Son),남아영(Ah young Nam),송시연(Sie yeoun Song). "고객등급에 따른 온라인 구매후기의 설득지식 발생에 대한 연구." 상품학연구, 35.2(2017): 33-4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