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SNS에서의 메시지 유형이 공공기관브랜드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540

영문명
SNS Message Types, Network Competency, Information Seeking Tendency, and Brand Image of Public Institution
발행기관
한국상품학회
저자명
이희태(Lee Hee Tae) 차문경(Cha Moon Kyung)
간행물 정보
『상품학연구』제35권 제2호, 55~60쪽, 전체 6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4.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머소구에 초점을 두어, SNS (Social Network Service) 메시지 유형이 공공 기관의 브랜드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또한 소비자의 네트워크 능력과 정보 추구 성향이 메시지 유형-공공기관 브랜드 이미지 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몇 가지 이론적 및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한다. 연구 결과, 유머 소구가 통제 조건(정보 제공)보다 공공기관 브랜드 이미지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나타냈다. 또한 소비자의 정보추구성향 중 정보 검색 성향이 메시지유형-공공기관의 브랜드 이미지 관계에 긍정적 영향을 지니며, 대인네트워크 능력 및 온라인 네트워크 능력 역시 유머 소구와 브랜드이미지간의 관계를 강화시키는 조절효과를 보였다. 그러나, 대인(오프라인) 네트워크능력은 유머소구와 브랜드 이미지 간 관계를 조절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current article seek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NS (Social Network Service)message types on brand image of public institution, focusing on humor appeal. We also tried to examine howconsumers’ network competency and information seeking tendency affect this message type and brand image relation. By doing so, this study aimed to provid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Results indicate that humor appeal has a greater effect on public institution brand image relative to control(information only) condition. At the same time, consumers who have stronger information seeking tendency reported more positive brand image of public institution, and interpersonal network competency and online network competency also strengthen the humor appeal-brand image relation. In contrast, interpersonal network competency does not have the moderating effect on this relation.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provides insights into using strategic message appeal, such as humor, for institutions in the public sector, where marketing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Second, our results extended prior studies on the effect of humor appeal by including public institutions case. Third, this study shows that information seeking tendency and online network competency is significant moderators of the humor appeal effect on brand image, whereas offline network competency is not. This implies that public service institution should take consumers’ individual differences into consideration formaximizing it’smarketing strategies.

목차

국문초록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가설설정
Ⅲ. 연구 방법 및 실증분석
Ⅳ.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희태(Lee Hee Tae),차문경(Cha Moon Kyung). (2017).SNS에서의 메시지 유형이 공공기관브랜드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상품학연구, 35 (2), 55-60

MLA

이희태(Lee Hee Tae),차문경(Cha Moon Kyung). "SNS에서의 메시지 유형이 공공기관브랜드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상품학연구, 35.2(2017): 55-6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