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결혼이주남성과 자녀 간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탐색:

이용수  230

영문명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Family Monthly Income, Support from Parter, Cultural Differences and Marital Satisfaction of Married Immigrant Male:
발행기관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저자명
연은모(Yeon Eun Mo) 최효식(Choi Hyo sik)
간행물 정보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韓國幼兒敎育·保育行政硏究 제21권 제1호, 213~236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3.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결혼이주남성과 한국인 아내로 구성된 다문화 가정을 대상으로 하여 가구 월평균 소득, 배우자 지지, 부부간 문화적 차이가 결혼이주남성(아버지)-자녀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결혼만족도의 간접효과가 있는지 살펴보고, 사회적 차별 경험 여부의 조절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15년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 자료에 기초하여 구조방정식 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가구 월평균 소득과 부부간 문화적 차이는 아버지-자녀 관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반면, 결혼이주남성의 결혼만족도를 매개로 아버지-자녀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결혼이주남성이 사회적 관계를 원만하게 형성하는 데 도움을 주는 배우자 지지는 아버지-자녀 관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결혼만족도를 매개로 아버지-자녀 관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집단 분석 결과 사회적 차별을 경험했다고 응답한 집단에서 사회적 차별을 경험하지 않았다고 응답한 집단보다 배우자 지지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강하게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direct effect of married immigrant male’s marriage satisfaction regarding the relationship among family monthly incomes, partners’ support, and cultural differences on their father-child relationship. In addition, this study aimed to analyze whether these relationships vary depends on perceived experience in social discrimination. The participants of current study were married immigrant males who participated in the National Survey on Multi-cultural Families in 2015 and the results using by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of the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 verification are as follow. First, family monthly income and differences in cultural background of couple turned out to have no statistical direct effect on father-child relationship while marital satisfaction of married immigrant male turned out to have a mediating effect on father-child relationship. Second,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support from partner encourages father-child relationship and this relationship get stronger through marriage satisfaction. Third, results also confirm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support from parter and marriage satisfaction were stronger in men who experiences social discrimination than who do not. Based on the result, implications for research and practices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연은모(Yeon Eun Mo),최효식(Choi Hyo sik). (2017).결혼이주남성과 자녀 간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탐색:.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1 (1), 213-236

MLA

연은모(Yeon Eun Mo),최효식(Choi Hyo sik). "결혼이주남성과 자녀 간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탐색:."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1.1(2017): 213-23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