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6세 정서문제 아동의 가족상담 사례 연구
이용수 937
- 영문명
- A Case Study on Family Counseling for 6-year-old Children with Emotional Problems
- 발행기관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 저자명
- 고재욱(Ko Jea Ug) 권경미(Gwon Kyung Mi)
- 간행물 정보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韓國幼兒敎育·保育行政硏究 제21권 제1호, 237~263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3.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6세 정서문제 아동의 가족상담 사례연구이다. 아동에게 총 18회의 놀이치료가 실시되었으며 그 중 14회는 상담자가 진행하였고, 나머지 4회는 아동의 부모가 각각 2회씩 놀이실에 들어가 아동과 함께 진행하였다. 개입 아동의 특징은 정서적으로 안정되지 못하고 주의가 산만하며 친구와 잘 어울리지 못한다. 또한 학습할 때 집중력이 부족하고 남을 귀찮게 하고 가정에서 둘째 동생과 다툼이 많다. 개입 결과 상대방과 함께 하는 놀이의 즐거움을 알게 되었고, 이를 적절히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아직도 아동이 공격적인 놀이를 선호하고, 이런 감정의 표출이 변형되어 나타나며, 과장된 행동과 언어적 산만함이 해결되지 않은 상태이다. 본 사례를 통하여 아동에게 짧은 기간 동안 놀이치료 적용과 적극적인 가족개입의 방법으로 부모들로 하여금 아동 문제에 능동적으로 대처하여, 놀이치료의 효과가 지속될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 또한 아동에 대한 이해가 증진되고 민주적인 양육방법을 학습하여 실천하는 단계에 있기 때문에, 이를 가정 안에서 지속적으로 실천한다면 좋은 결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 case study of family counseling for 6 - year - old children with emotional problems. A total of 18 play treatments were administered to the children, 14 of which were performed by the counselor and the remaining 4 times were conducted by the parents of the children twice each in the play room. Characteristics of intervention children are not emotionally stable, distracted, and do not fit well with friends. In addition, there is a lack of concentration and a lot of contention with my second brother at home. As a result of the intervention, I became acquainted with the pleasure of play with the other party, and I was able to utilize it appropriately. However, children still prefer aggressive play,
the expression of these emotions is transformed, and exaggerated behavior and verbal distraction are not resolved. In this case, play therapy was applied to the child for a short period of time. However, since the parents were actively coping with the child problem using aggressive family intervention methods, the effect of play therapy is likely to persist. In addition, because children s understanding is enhanced and democratic parenting methods are learned and practiced, it can be a good result if they are practiced continuously in the home.
목차
Ⅰ. 서 언
Ⅱ. 연구 방법
Ⅲ. 사례개요
Ⅳ. 진단 및 개입목표
Ⅴ. 연구결과 및 해석
Ⅵ.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아교육 실천과정에 관한 연구
- 결혼이주남성과 자녀 간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탐색:
- 영재 유아와 일반유아 통합교육을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프로그램이 교수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유아 영어교육에 대한 어머니의 신념이 일반유아교육기관 또는 영어몰입교육기관에 다니는 유아의 영어 학습 태도에 미치는 영향
- 6세 정서문제 아동의 가족상담 사례 연구
- 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과 과잉행동, 충동성 및 부주의 간의 관계
- 영유아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지식, 과학적 태도와 과학교수 적극성에 대한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성 교육 경험의 의미 탐색
- 유치원 교사의 수업전문성 연구동향 분석
- 디자인을 통한 입체미술활동이 만5세 유아의 추론능력과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