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아 영어교육에 대한 어머니의 신념이 일반유아교육기관 또는 영어몰입교육기관에 다니는 유아의 영어 학습 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473

영문명
Effects of Mothers’ Perceptions about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on Preschoolers’Attitudes toward Learning English
발행기관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저자명
황근희(Hawng Keun Hee) 최나야(Cho Na Ya)
간행물 정보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韓國幼兒敎育·保育行政硏究 제21권 제1호, 189~211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3.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교육기관 유형에 따라 어머니의 유아 영어교육에 대한 신념 및 유아의 영어 학습 태도에 차이가 있는지 비교해 보고, 유아 영어교육에 대한 어머니의 신념이 유아의 영어 학습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유치원 및 어린이집 총 12곳의 만 5세 유아와 그 어머니 157쌍, 그리고 영어몰입교육을 받는 만 5세 유아와 그 어머니 143쌍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영어몰입교육기관의 어머니는 조기영어노출과 영어교수자료 활용을 더 많이 지지하고 영어의 긍정적 영향을 크게 인식하는 반면, 일반유아교육기관의 어머니는 한국어와 영어의 균형 발달, 부모의 직접 지도, 비관습적 지도를 지향하였다. 둘째, 유아의 영어 학습 태도에서는 부모의 격려와 기대 인식 요인에서만 집단 차이가 나타나, 영어몰입교육기관의 유아들이 일반유아교육기관 유아들보다 영어 학습에 대한 부모의 격려와 기대를 더 크게 인식하였다. 셋째, 유아 영어교육에 대한 어머니의 신념은 기관 유형과 상관없이 유아의 영어 활동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넷째, 어머니의 신념은 유아 영어 학습 동기의 하위 요인인 부모의 격려와 기대 인식, 외국에 대한 관심, 불안에 대해 영향을 미쳤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others’ perceptions about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on preschoolers’ attitudes toward learning English. Totally 300 five-year-olds were interviewed, and their mothers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others of the English immersion educational institution supported more ‘early English exposure’ and ‘English teaching materials’ and recognized the positive effect of English. On the other hand, the mothers of general institutions tended to pursue ‘balanced development of Korean and English languages’, ‘parents’ teaching’, and ‘unconventional teaching methods’. Seco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children’s attitudes toward learning between two groups. Children of immersion group showed higher level only in the factor of ‘perceptions about care-givers’ encouragement and expectation’. Third, mother’s perceptions about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did not affect the children’s preferences of English activities, regardless of groups. Fourth, mother’s perceptions about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influenced ‘recognition of parents’ encouragement and expectation’, ‘interests about foreign countries’, and ‘anxiety for learning English’, which were sub-factors of children’s motivation for learning English.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황근희(Hawng Keun Hee),최나야(Cho Na Ya). (2017).유아 영어교육에 대한 어머니의 신념이 일반유아교육기관 또는 영어몰입교육기관에 다니는 유아의 영어 학습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1 (1), 189-211

MLA

황근희(Hawng Keun Hee),최나야(Cho Na Ya). "유아 영어교육에 대한 어머니의 신념이 일반유아교육기관 또는 영어몰입교육기관에 다니는 유아의 영어 학습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1.1(2017): 189-21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