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과 과잉행동, 충동성 및 부주의 간의 관계

이용수  1,887

영문명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Children’s smartphone Over-immersion and their Hyperactivity, Impulsivity and Inattention
발행기관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저자명
유지형(Yoo Ji Hyung) 문혜련(Moon Hae Lyun)
간행물 정보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韓國幼兒敎育·保育行政硏究 제21권 제1호, 39~63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3.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만 5세 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 정도와 과잉행동, 충동성 및 부주의 정도의 전반적인 경향과 성별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고, 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 정도와 과잉행동, 충동성 및 부주의 간의 관계를 알아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수도권에 위치한 유치원 5곳과 어린이집 10곳에 재원하고 있는 만 5세 유아 434명을 대상으로 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 정도와 과잉행동, 충동성 및 부주의 정도를 측정하였다. 자료는 SPSS 12.0K for Window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t-검정,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 정도를 살펴본 결과, 스마트폰 과몰입군과 고위험 사용환경군, 과몰입 고위험군이 31.6%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나 전체 유아에서 약 3분의 1정도가 스마트폰 과몰입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었다. 둘째, 유아의 과잉행동, 충동성 및 부주의 정도를 살펴본 결과, 전체에서 5분의 1정도의 유아들이 과잉행동과 충동성, 부주의 증상을 가지고 있었다. 유아의 과잉행동, 충동성 및 부주의는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3개 요소 모두 남아가 여아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과 과잉행동, 충동성 및 부주의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유아의 스마트폰 사용환경과 과몰입 증상 하위요인(이상발달, 과도한 추구, 집착적 사용), 과몰입 증상 총점 모두 과잉행동, 충동성 및 부주의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은 과잉행동, 충동성 및 부주의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부모와 유아의 스마트폰 과다사용이 유아에게 미치는 유해성을 부모와 유아가 인지하고 올바른 스마트폰 사용습관을 가질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 및 보급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general inclination of five-year-olds in terms of their extent of smartphone over-immersion, hyperactivity, impulsivity and inattention, and analyzes differences in these behaviors by the children’s gender. The objective is to find a relationship between the extent of children’s smartphone over-immersion and their hyperactivity, impulsivity and inattention. For the research, 434 five-year-olds from five private kindergartens and 10 public children’s daycare centers in the Seoul metropolitan region were surveyed. SPSS 12.0K for Windows was used to analyze collected data.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e examined the extent of children’s smartphone over-immersion, and found out that 31.6% of the children fell into a group of smartphone over-immersion, a high-risk group of smartphone usage environment, or a high-risk group of smartphone over-immersion, indicating that about one-third of the all children were exposed to the risk of smartphone over-immersion. Second, one-fifth of all children showed symptoms of hyperactivity, impulsivity or inattention. These behaviors varied by children’s gender, and boys showed higher extent of these behaviors than girls a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Third,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smartphone over-immersion and their hyperactivity, impulsivity and inattention, and found out that children’s smartphone usage environment, sub-categories of over-immersion symptoms(abnormal developmental symptoms, excessive seeking, stick to usage), and a total score of over-immersion symptoms all had a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with children’s hyperactivity, impulsivity and inattention. In conclusion, we found out that children’s smartphone over-immersion is closely related to their hyperactivity, impulsivity and inatten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distribute programs through which parents and children can be more aware of harms of excessive smartphone usage on children, and form a healthy habit of using smartphone.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유지형(Yoo Ji Hyung),문혜련(Moon Hae Lyun). (2017).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과 과잉행동, 충동성 및 부주의 간의 관계.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1 (1), 39-63

MLA

유지형(Yoo Ji Hyung),문혜련(Moon Hae Lyun). "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과 과잉행동, 충동성 및 부주의 간의 관계."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1.1(2017): 39-6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