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실과 식생활 영역의 교수 학습 자료에 대한 대학생들의 반응과 현장 적용성
이용수 8
- 영문명
- A Response and Possibility for Application about Teaching-Learning Materials on Food and Nutrition Education in Practical Arts
- 발행기관
- 한국실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성숙(Lee, Sung Sug)
- 간행물 정보
-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20권 제4호, 39~58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12.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arch for the change of contents on Food and Nutrition education in practical arts. A total of 269 sophomores, who were enrolled in the G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were employed as subjects. The subjects were instructed to learn material on Food and Nutrition. After, the subjects were studied based on their interests on the teaching-learning material, satisfaction, execution ability, and the possibility for applying
the material after instruction.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eaching-learning materials of this study were composed of the following contents: Making Korean traditional foods, Making foods with eggs, Making foods with Korean flour, Making foods with bread, Making foods with cooked rice. The interests in the teaching-learning materials were high on making California rolls, cookies, muffins, and theme cakes. Possibilities for application in the
teaching-learning materials were high in songpyon, California rolls, rice rolled in dried laver, and dumplings. Satisfactions in the teaching-learning materials were high on making theme cakes, pizzas, songpyon, fried-flower cookies, and a cake made in the shape of a flower.
Therefore, it is clear that the development of contents will be needed to let prospective teachers who are interested in learning to apply the educated contents in the field. The prospective teachers should understand and teach on what they learned. To do so, it is necessary that the concerned parts of universities teach prospective teachers to have
competent execution abilities and be satisfied with the contents after classe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Ⅳ. 연구의 결과 및 해석
V. 결론 및 제언
참 고 문 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통일을 대비한 초등실과 가정생활교육 방안(Ⅰ)
- 실천적 추론 실과 수업이 초등학생의 문제해결력과 인성에 미치는 효과
- 초등학교 교사 신규임용 선정시험에서의 실과교과 출제 체제 분석 및 개선에 관한 연구
- 주니어 발명리더과정 발명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분석
- 대학생의 식생활 관련 환경지식 및 환경친화적 행동 실태
- 실과 식생활 영역의 교수 학습 자료에 대한 대학생들의 반응과 현장 적용성
- 초등학교 6학년 실과 수업의 참여구조 유형 분석
- 첨단과학기술 분야에 기반을 둔 미래 지향적인 실과 교육 컨텐츠 개발에 관한 연구
- 식스 시그마를 이용한 교육대학교 실과 기술 영역수업의 질 향상에 관한 연구
- 초등 실과에서 전자 부품의 납땜 방식과 꽂기 방식에 의한 전자 제품 제작의 학습 성취도 비교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