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디지털 인터액티브 아트에서의 상호작용적 공간
이용수 440
- 영문명
- Interactive Space on Digital Interactive Art - Space and Interactivity of the Works of Scott Snibbe and Teri Rueb
- 발행기관
- 한국조형디자인학회
- 저자명
- 전혜정(Chun, Hye-jung)
- 간행물 정보
- 『조형디자인연구』조형디자인연구 제19집 4권, 51~7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2.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상호작용성’에 대한 의미를 스콧 스니브(Scott Snibbe)와 테리 루엡(Teri Rueb)의 작품 속 ‘공간’을 통해 연구하는 것이다. 이 두 작가는 ‘디지털 인터액티브 아트’를 통해 감상자와 직접 상호작용할 뿐만 아니라 공간의 탐색을 통해 공간의 의미를 변화시키거나 재규정하고, 공간 및 장소에 대해 다시 생각하게끔 한다는 점에서 공간의 문제를 상호작용성 속에서 직접다루고 있다. 또한 디지털 인터액티브 아트에서는 작품이 구현되는 전시장 혹은 설치 공간에서의 감상자와의 관계가 중요하기 때문에 상호작용성은 공간의 문제와 불가분의 관계이다.
본 연구는 두 작가의 (디지털) 인터액티브 아트 작품이 공간 속에서 어떻게 구현되며 공간의 의미에 어떤 변화를 일으키는가를 구체적으로 기술함으로써 상호작용성을 ‘공간론’의 문제에서 탐구하였다. 따라서 이를 기반으로 향후 상호작용적 작품에 기반한 상호작용적 ‘공간’ 혹은 ‘전시’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로 확장되고, 이를 위해 철학, 미학, 사회학, 지리학, 물리학, 전시디자인 등 학제간 협조를 통해 좀 더 심도 깊은 연구로 발전될 것을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plore ‘interactivity of the digital interactive art’ through ‘the space’ in the works of Scott Snibbe and Teri Rueb along with the meaning of ‘interactivity’ in general. These two artists not only interact directly with the audiences through their works but also change or re-define the meaning of space through the
exploration of space, which provokes viewers to rethink the space. Also, in digital interactive art, the relationship with audiences are much more important in the exhibition venue or installation space, so interactivity is inseparable with space issues.
This study has looked into how the digital interactive art is realized in space and what changes the meaning of space, therefore the interactivity is researched based on the the theories of space . Through this thesis, examining interactivity in theory of space, the following study has been performed; how digital interactive art is realized in a space and makes effect on the change to the meaning of the space. Therefore, based on these, the concrete studies about interactive ‘space’ or ‘exhibition’ can be expanded, and for these, further interdisciplinary researches - for example with the cooperation with philosophy, aesthetics, sociology, geography, physics and exhibition design and so on - are expected to be done.
목차
Ⅰ. 서 론
1. 상호작용성의 의미
2. 인터액티브 아트에서의 ‘상호작용적 공간’
Ⅱ. 스콧 스니브
1. <경계선의 기능>
2. <부끄러운>, <집중>
3. 스콧 스니브와 지각적 ‘체험의 장’
Ⅲ. 테리 루엡
1. 테리 루엡과 걷기의 ‘장소성’
2. <해류>, <흔적>
2. <어딘가 다른 곳에서>
Ⅵ. 결 론
□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전통조각보를 응용한 문화상품 디자인 개발
- 현대미술의 원시주의에 대한 연구
- 한국 공예문화산업의 정부정책 연구
- 제프 월(Jeff Wall)의 사진에서 나타난 조작된 ‘사실’
- 예술가들의 박물관
- 하위문화의 관점에서 본 브리콜라주 조형의 의미화 방식 연구
- 3D Printing 기술을 활용한 도자제품 원형의 가치 및 양각문양 재현성 연구
- 디지털 인터액티브 아트에서의 상호작용적 공간
- 15 세기 서양화 속 이탈리아 실크 텍스타일디자인 연구
- 에드먼드 드 발의 작품에 관한 연구
- 조형디자인연구 2016 제 19 집 4 권 목차
- 니람과 인디고페라의 면직물 염색 시 조건에 따른 견뢰도와 항균성 비교
- 몽골 게르와 한국 백동연죽의 조형 표현 및 기능 융합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AI 시대 창의성 향상을 위한 K-창의성 체험수업 연구 - 분청사기철화연당초문호의 미학적 공간 활용
- 생성형 AI·에듀테크 기반의 미술 수업이 중학교 소프트스킬에 미치는 효과
- 한국 미술·미술교육 분야에서의 질적 연구 - 역사와 그 특징들의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