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전통조각보를 응용한 문화상품 디자인 개발
이용수 690
- 영문명
- Development of Cultural Product Design Applying Traditional Jogakbo - Scarf and Necktie Design -
- 발행기관
- 한국조형디자인학회
- 저자명
- 정용순(Chung, Yong-soon)
- 간행물 정보
- 『조형디자인연구』조형디자인연구 제19집 4권, 9~28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2.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21세기는 문화의 시대이며 감성의 시대라고 한다. 세계화 속에서 문화의 가치가 높이 평가되고있으며 K-Drama, K-Pop, K-Fashion 등 한류문화의 인기와 더불어 한국문화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아지고 있다. 디자인에서도 문화는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으며 한국의 전통문화 요소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문화상품디자인의 개발은 한국문화의 산업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생각한다.
본 논문은 조선의 여성들이 만들고 사용하였던 전통조각보를 차용하여 패션액세서리인 스카프와 넥타이를 위한 디자인을 개발하였다. 조각보는 칼 라커펠트가 2015/16 샤넬 크루즈 컬렉션에서도 사용했을 만큼 한국의 대표적인 문화 아이템 중 하나로 무한한 표현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조각보의 개념, 그리고 조각보가 만들어진 시대적 배경과 조선 여인들의 삶을 이해함으로써 한국의 문화와 감성을 디자인에 표현하고자 하였다.
스카프는 중장년층을 위한 정사각형 스카프와 젊은 층을 겨냥한 트윌리 스카프 그리고 남성의 패션액세서리인 넥타이를 디자인하였으며 이들 제품들은 각각 활용되기도 하지만 스카프와 넥타이의 셋트 상품으로도 구성할 수 있도록 디자인하였다. 전통조각보의 조형미를 분석하고 이들 조각보의 구성 중 세 개를 선택하여 디자인에 적용하였으며 제품의 생산은 다양한 컬러의 조합으로 사실적인 이미지와 섬세한 질감을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디지털프린트를 이용하였다. 디지털프
린트는 소량생산에 적합하므로 소비자의 요구에 따라 필요한 양을 바로 주문 재생산 가능하며 다양한 디자인으로 경쟁력 있는 문화상품으로써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전통문화를 반영한 패션제품은 그 문화가 지니고 있는 의미와 가치도 중요하지만 그 가치를 드러내기 위해서는 전통의 현대적 해석에 의한 차별화된 디자인의 개발이 꾸준히 이어져야하며 이것이 문화산업에서 한국의 이미지 제고를 위한 힘이 되길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e 21st century is known as an era of culture and emotion. The value of culture is estimated to be getting higher every year and the overall reputation of Korean culture including K-Drama, K-pop, K-fashion is increasing. The cultural component in the design is also becoming important. Accordingly, a development of product design reinterpreted in a modern way from the traditional cultural ingredient would contribute to the industrialization
of Korean culture.
The thesis contains the design to make scarves and neckties by applying traditional Jogakbo which was a typical method in Joseon Dynasty. The Jogakbo is a representative Korean culture and has a tremendous potential for expression. It has been used already by Karl Lagerfeld in Chanel Cruise Collection in 2015-16.
The artwork mainly includes women s normal square shape scarf for middle aged women, twilly scarf for young customers and neckties for men. These artworks can be used not only as each piece but also a combination set of scarf and necktie. After analyzing the detailed structure of traditional Jogakbo, 3 main components were selected and applied to the design.
All artworks were produced with digital printing methods which can express effectively various colors and textures and also are appropriate for small-quantity production.
Conversion of hand crafts to digital printing for custom production increases the competitiveness as a cultural product.
Fashion products reflecting the traditional culture are important because of the culture’s meaning and value. But a unique and differentiated design by reinterpreting the traditional value in modern way would add to its value more.
I hope this project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Korean production industry.
목차
Ⅰ. 서 론
1. 연구 목적
2. 연구 내용과 방법
Ⅱ. 조각보의 이론적 배경
1. 조각보의 개념과 의미
2. 조각보의 조형
Ⅲ. 스카프, 넥타이디자인 개발
1. 소재와 제작방법
2. 스카프, 넥타이디자인 전개
Ⅳ. 결론
□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전통조각보를 응용한 문화상품 디자인 개발
- 현대미술의 원시주의에 대한 연구
- 한국 공예문화산업의 정부정책 연구
- 제프 월(Jeff Wall)의 사진에서 나타난 조작된 ‘사실’
- 예술가들의 박물관
- 하위문화의 관점에서 본 브리콜라주 조형의 의미화 방식 연구
- 3D Printing 기술을 활용한 도자제품 원형의 가치 및 양각문양 재현성 연구
- 디지털 인터액티브 아트에서의 상호작용적 공간
- 15 세기 서양화 속 이탈리아 실크 텍스타일디자인 연구
- 에드먼드 드 발의 작품에 관한 연구
- 조형디자인연구 2016 제 19 집 4 권 목차
- 니람과 인디고페라의 면직물 염색 시 조건에 따른 견뢰도와 항균성 비교
- 몽골 게르와 한국 백동연죽의 조형 표현 및 기능 융합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AI 시대 창의성 향상을 위한 K-창의성 체험수업 연구 - 분청사기철화연당초문호의 미학적 공간 활용
- 생성형 AI·에듀테크 기반의 미술 수업이 중학교 소프트스킬에 미치는 효과
- 한국 미술·미술교육 분야에서의 질적 연구 - 역사와 그 특징들의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