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셀 푸코의 마네론에 근거한 영화 <풀밭위의 식사>장면분석
이용수 303
- 영문명
- 발행기관
- 청운대학교 방송예술연구소
- 저자명
- 유재응
- 간행물 정보
- 『미디어와 공연예술 연구』제4권 2호, 1~17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4.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화 ‘풀밭위의 식사’ (2004)는 1963년 프랑스의 그 당시 보수적이고 권위적이며 전통적이라 할 수 있는 “살롱전” 에서 낙선 후 이에 반발 하여 소위 “낙선전”에 전시된 마네의 “풀밭 위의 식사” 의 제목을 차용하고 있다. 미셀 푸코는‘풀밭위의 식사’, ‘올랭피아’등 마네의 그림 13 점을 선택하고, 그것을 다시 캔버스라는 공간의 문제, 조명의 문제, 관람객의 자리라는 세 항목으로 나누어 하나씩 꼼꼼하게 분석한 후 마네를 현대 회화의 물질적 조건을 선취한 화가라고 말하였다. 영화 ‘풀밭 위의 식사’가 극의 내용과 전혀 상관이 없는 마네의 그림에서 굳이 제목을 차용한 것은 영화를 구성하는 많은 장면들이 기존의 전통적인 촬영방식으로 만들어진 영화들과는 차별이 있는 실험적인 장면들이 많다는 것과 그 장면들이 푸코가 분석한 마네 그림의 특징들이 그대로 따르고 있는데 기인한다. 본 연구를 통해 필자는 영화 ‘풀밭위의 식사’ 의 장면들이 푸코가 분석한 마네의 작품들의 특징들을 어떻게 반영하 였고 변형했는지에 대해 영화의 장면들과 마네의 그림들을 비교, 분석해 보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e movie White Ants borrows the title Eduoard Manet s painting Luncheon on the grass . This painting was exhibited at the Salon des Refusés in 1963 of the France. Michel Foucalt selected the Manet s figure 13 paintings, and analyzed that paintings of problems of space, lighting, and the spectator s place and then he said that Manet is a painter who preempt material condition of modern conversation. Although this movie different from Manet s that painting in the motive and narration, the reason this movie borrows that title is experimental shot and scene that was distinguished from the movie was made by conventional photographing usage and also this movie follows characteristics of Manet s painting that Foucalt had analyzed. on this research. I will analyze and compare with that how to scene and shot of this movie White Ants was reflected and changed characteristics of the Manet s paintings the Foucalt had analyzed.
목차
1.서론
2.본론
3.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상 ucc확산의 사회문화적 의미와 활성화 방안
- TES 즉흥프로그램을 적용한 대학생의 표현력 향상을 위한 사례연구
- 방송사 pd 업무몰입도 결정 요인 연구 :방송사 및 pd 유형별 차이를 중심으로
- 청소년시청보호시간대와 방송프로그램등급제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연구
- 텍스트 기반의 커뮤니케이션 환경에서의 타인에 대한 지각 :인스턴트 메신저 사용을 중심으로
- 디지털 환경에서의 자아 제시적 이미지의 재현과 소통이 갖는 문화적 의미-
- 방송영화 기록물 아카이빙 방안에 대한 연구 선진 해외사례 비교를 중심으로-김미경 민병현
- 미셀 푸코의 마네론에 근거한 영화 <풀밭위의 식사>장면분석
- 충청도 공연장 무대 시스템 분석 및 공연활성화를 위한 방안-
- 예술교육을 통한 관객개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분야 NEW
- 한 30대 미혼여성의 소마중심 표현예술치유 경험을 통한 자아정체성 형성에 관한 예술 기반 내러티브 탐구
- 미증유의 사회, 한국교육혁신을 위한 통섭적 접근으로의 인문예술은 왜 필요한가?-인문학을 연극과 무용으로 연결하기
- 미래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향방에 관한 논고- 무용 교육 매개인력 중심 논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