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디지털 환경에서의 자아 제시적 이미지의 재현과 소통이 갖는 문화적 의미-
이용수 321
- 영문명
- 발행기관
- 청운대학교 방송예술연구소
- 저자명
- 류기상
- 간행물 정보
- 『미디어와 공연예술 연구』제4권 2호, 1~27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4.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미지의 재현은 미디어의 스키마(schema)를 통한 현실의 재편집된 형태의 전달 또는 환영의 생산이었다. 미디어의 초기 매체인 사진 이미지는 실재를 증거로 하기 위한 주요 특성으로부터 출발하였고 그러한 특성이 사실이든 아니든 그것은 사진 이미지가 가지고 있는 사실이 라는 유사성에 기여하는 힘을 제공하였다. 미디어 환경 변화 이후, 웹을 기반으로 하는 소통구조는 이미지를 소통의 언어로 세상을 ‘보는’ 방식과 ‘보여주는’ 방식에 대해 적극적인 자아-제시적 콘텐츠로 디지털 이전의 시각체계(재현과 소통구조 안에서 대상을 어떻게 볼 것인가 (Ways of seeing)?)에서 드러났던 대상성의 재현 방식과는 다른 그들의 풍부하고 재미있는 실체의 시각적 환영을 미디어 놀이 문화에서 재현 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rough short history of media, the reappearance of image was considered as re-designed deliverance or visionary production by schema. The photographic image which is the initial mechanism in the history of media, started to appear as the main character to prove the reality. Whether the characteristic is real or fake, it gave more points to the photography s similarity or its credibility. As for children or teenagers, reckoned as media generation , the ways of seeing and showing is implemented by communication and re-appearance of images/visions in their entertainment environment. One of the reasons that this re-appearing method is fun and meaningful is that this re-emerges the certain time and activity that this image was taken. And this re-emergence reflects one s experience, interprets, as well as provides communications and visions.
목차
1.서론
2.사진 미디어에 있어 재현의 개념
3.디지털 환경에서의 사진 이미지의 재현과 소통
4.디지털 환경에 있어서의 자아-제시적 재현과 소통
5.결론 :대안적 문화로서의 디지털 이미지의 가능성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상 ucc확산의 사회문화적 의미와 활성화 방안
- TES 즉흥프로그램을 적용한 대학생의 표현력 향상을 위한 사례연구
- 방송사 pd 업무몰입도 결정 요인 연구 :방송사 및 pd 유형별 차이를 중심으로
- 청소년시청보호시간대와 방송프로그램등급제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연구
- 텍스트 기반의 커뮤니케이션 환경에서의 타인에 대한 지각 :인스턴트 메신저 사용을 중심으로
- 디지털 환경에서의 자아 제시적 이미지의 재현과 소통이 갖는 문화적 의미-
- 방송영화 기록물 아카이빙 방안에 대한 연구 선진 해외사례 비교를 중심으로-김미경 민병현
- 미셀 푸코의 마네론에 근거한 영화 <풀밭위의 식사>장면분석
- 충청도 공연장 무대 시스템 분석 및 공연활성화를 위한 방안-
- 예술교육을 통한 관객개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분야 NEW
- 한 30대 미혼여성의 소마중심 표현예술치유 경험을 통한 자아정체성 형성에 관한 예술 기반 내러티브 탐구
- 미증유의 사회, 한국교육혁신을 위한 통섭적 접근으로의 인문예술은 왜 필요한가?-인문학을 연극과 무용으로 연결하기
- 미래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향방에 관한 논고- 무용 교육 매개인력 중심 논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