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영상 ucc확산의 사회문화적 의미와 활성화 방안
이용수 93
- 영문명
- 발행기관
- 청운대학교 방송예술연구소
- 저자명
- 이화행
- 간행물 정보
- 『미디어와 공연예술 연구』제4권 2호, 1~27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4.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동영상 UCC의 확산으로 인하여 ‘참여’와 ‘공유’의 문화생산 방식이 네티즌을 네트워크 사회의 주체로 부각시키면서 커뮤니케이션 패러다 임의 변화가 가속화되고 있다. 본 논문은 동영상 UCC의 확산의 배경이 된 웹2.0 패러다임과 동영상 UCC의 현황(배경, 유형, 이용현황), 동영상 UCC의 사회문화적 영향에 대하여 논의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시민 참여 매체로서의 동영상 UCC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둔다. 연구결과 UCC 확산의 사회문화적 영향은 첫째, 개방과 공유를 통한 참여 중심의 프로슈머 사회 실현에 기여, 둘째, UCC의 미디어적 영향력 증가, 셋째, 계층 간의 디지털 정보격차 강화로 요약 된다. UCC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저작권, 초상권 등에 관한 문제, 소비 자의 커뮤니케이션 확장자로의 역할 수행, 수익모델 및 보상 구조 모색, UCC의 배포 및 확산 관련 기술적, 제도적 문제 등이 선결되어야할 과제이다. UCC의 활성화는 산업논리에 따라 시장에만 맡겨서는 안되며, UCC 문화는 공익적 영역에서도 활성화되어야 한다.
영문 초록
Because of the diffusion of Video-UCC, the Netizens become the key role in the digital society. Video-UCC as an engine of participation and collaboration speeds up changing the communication paradigm. This study discusses the paradigm of Web 2.0 and sociocultural Influences of Video-UCC and aims to find the way of its revitalization. The study shows the following results as sociocultural effects of UCC: realization of prosumer society through participation and collaboration, increasing the influencing power of UCC as media, and intensifying the digital divide. For the revitalization of UCC, the following problems must be solved: copyright problem, taking on role of consumer as communication innovator, and technical and institutional problems related to distribution and diffusion of UCC.
목차
1.서론
2.웹2.0 패러다임과 ucc
3.ucc확산의 사회문화적 영향 및 ucc활성화를 위한 방안
4.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상 ucc확산의 사회문화적 의미와 활성화 방안
- TES 즉흥프로그램을 적용한 대학생의 표현력 향상을 위한 사례연구
- 방송사 pd 업무몰입도 결정 요인 연구 :방송사 및 pd 유형별 차이를 중심으로
- 청소년시청보호시간대와 방송프로그램등급제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연구
- 텍스트 기반의 커뮤니케이션 환경에서의 타인에 대한 지각 :인스턴트 메신저 사용을 중심으로
- 디지털 환경에서의 자아 제시적 이미지의 재현과 소통이 갖는 문화적 의미-
- 방송영화 기록물 아카이빙 방안에 대한 연구 선진 해외사례 비교를 중심으로-김미경 민병현
- 미셀 푸코의 마네론에 근거한 영화 <풀밭위의 식사>장면분석
- 충청도 공연장 무대 시스템 분석 및 공연활성화를 위한 방안-
- 예술교육을 통한 관객개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분야 NEW
- 한 30대 미혼여성의 소마중심 표현예술치유 경험을 통한 자아정체성 형성에 관한 예술 기반 내러티브 탐구
- 미증유의 사회, 한국교육혁신을 위한 통섭적 접근으로의 인문예술은 왜 필요한가?-인문학을 연극과 무용으로 연결하기
- 미래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향방에 관한 논고- 무용 교육 매개인력 중심 논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