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방송사 pd 업무몰입도 결정 요인 연구 :방송사 및 pd 유형별 차이를 중심으로
이용수 309
- 영문명
- 발행기관
- 청운대학교 방송예술연구소
- 저자명
- 전범수
- 간행물 정보
- 『미디어와 공연예술 연구』제4권 2호, 1~1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4.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방송사 PD들의 업무몰입도 결정 요인을 방송사별, PD 유형별로 구분하여 살펴본 것이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방송사별 PD 업무몰입도 결정 요인을 살펴보면 KBS와 MBC 간에는 비교적 유사한 결과가 나타난 반면 SBS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KBS와 MBC PD들의 경우에는 아낌없는 격려와 지원 등과 같은 집단응집도 요인이 업무몰입도를 결정하는 핵심 요인으로 나타난 반면 SBS PD들은 조직 통제 및 제작 문화 등과 같은 조직 구성원들의 가치 요인들이 업무몰입도를 결정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PD 유형별로 업무몰입도 결정 요인을 살펴본 결과 예능 PD들의 경우에는 팀워크가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교양 PD들은 구성원들 간의 신뢰도가 업무몰입도를 결정하는 유의미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반면 예능 PD와 교양 PD 모두 조직 통제 요인이 부적인 방향으로 업무 몰입도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이하게 드라마 PD들의 경우 방송의 사회적 역할이나 구성원 간의 유대감 등은 부적 방향으로 업무몰입도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determinants of producers work commitment among three Korean terrestrial broadcasters including KBS, MBC and SBS. Using survey data, this research focused on differences of the degree of work commitment among program producers. The results showed that determinants of producers work commitment in public broadcasters such as KBS and MBC were different from that of producers in the private broadcaster such as SBS. It also showed that although entertainment producers work commitment were mainly determined by team works, public affair producers commitment were determined by credibility among team members.
목차
1.문제의 제기
2.이론적 논의
3.연구 방법
4.연구 결과
5.결론 및 논의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상 ucc확산의 사회문화적 의미와 활성화 방안
- TES 즉흥프로그램을 적용한 대학생의 표현력 향상을 위한 사례연구
- 방송사 pd 업무몰입도 결정 요인 연구 :방송사 및 pd 유형별 차이를 중심으로
- 청소년시청보호시간대와 방송프로그램등급제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연구
- 텍스트 기반의 커뮤니케이션 환경에서의 타인에 대한 지각 :인스턴트 메신저 사용을 중심으로
- 디지털 환경에서의 자아 제시적 이미지의 재현과 소통이 갖는 문화적 의미-
- 방송영화 기록물 아카이빙 방안에 대한 연구 선진 해외사례 비교를 중심으로-김미경 민병현
- 미셀 푸코의 마네론에 근거한 영화 <풀밭위의 식사>장면분석
- 충청도 공연장 무대 시스템 분석 및 공연활성화를 위한 방안-
- 예술교육을 통한 관객개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분야 NEW
- 한 30대 미혼여성의 소마중심 표현예술치유 경험을 통한 자아정체성 형성에 관한 예술 기반 내러티브 탐구
- 미증유의 사회, 한국교육혁신을 위한 통섭적 접근으로의 인문예술은 왜 필요한가?-인문학을 연극과 무용으로 연결하기
- 미래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향방에 관한 논고- 무용 교육 매개인력 중심 논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