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국 근대미술교육의 형성 및 발전에 대한 연구

이용수  471

영문명
A Study on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Modern Chinese Art Education: Focused on Cai Yuan-pei, Lu Xun
발행기관
한국미술교육학회
저자명
장준석(Chang Jun Seok)
간행물 정보
『미술교육논총』美術敎育論叢 第30券 3號, 171~192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9.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1900년대 초 근대화되어 가는 중국 미술교육에 있어서 중추적 역할을 한 채원배, 노신, 서비홍, 임풍면 등 해외 유학파들이 1930년대까지 미술교육을 형성 및 발전시킨 과정을 분석하고 체계화시키는 데 있다. 먼저 중국 근대의 초기 채 원배와 노신 등의 유학파들의 활동을 전반적으로 서술함에 있어서는 관련 연구가 많지 않아서 자료 위주로 분석하였으며, 당시 중국 초창기 미술교육의 상황과 서구의 미술을 미술 교육 등에 도입하여 중국의 미술과 융화․발전시켜가는 과정 및 특성을 밝혔다. 이를 위하여 중국의 미술 교육 기관의 창설과 여기서 비롯된 미술 교육 과목, 수업방향, 교육목표들을 자료를 통해 학술화․객관화시키는 것은 매우 중요한 부분이었다. 본 연구를 통해, 당시 북경대 총장을 지냈던 채원배(蔡元培)의 문화예술에 대한 시각은 대단히 많은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었고, 이를 토대로 아큐정전 의 저자 노신 (魯迅)의 미술학교 교과 과정의 신설, 미술 조사처 설치, 도서관 정비, 역사박물관의 건립 추진, 예술전람회의 개최 등 기념비적인 일들이 진행되었음을 밝혀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부분을 고찰해가면서 중국의 근대 미술교육이 어떤 의미를 가지고 전개되었는지 파악하였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서양의 미술교육과 동양의 미술교육은 방법적․철학적․인식적 차원 등에서 볼 때 그 맥이 상충되지만, 신예술(新藝術) 운동에 활발하게 참여한 여러 유학파들의 진부한 중국미술교육의 개혁에 대한 열정은 1930년대에 들어 북경예전 등 여러 학교의 창설로 이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향후 중국 근대 미술 교육의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기 위한 이론적이고 실천적인 근거와 자료가 되고 중국미술 교육의 보다 심도 있는 연구 방향의 기초를 확보할 수 있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tried to look into art education formation and its process having been modernized early in China focussing on the studying abroad who played pivot roles in art education at that time such as Cai Yuan-pei, Lu Xun, Xu Bei-hong, Lin Feng-mian, Li Shu-tong together with several artists who led changed development in 1930s. The early studying abroad in modern China insisted to let more creative art progress by introducing Western art to fine art education after judging that Chinese art had lost creativity a lot from Qing Dynasty. Besides, they asserted harmonization and development into Chinese art by taking good points of Western art. For doing so, they attempted to establish artistic education organization, and to compose art curriculum and class directs more pratical and scientifically. There is Cai Yuan-pei who was President of Beijing University in the forefront of such directions. Cai Yuan-pei’s viewpoint on culture and art is very reasonable and sharp. Also, Lu Xun proceeded monumental works such as newly establishing an art curriculum, installing art research institute, propelling establishment of historical museum, and holding art exhibition etc. These were revolutionary things for that period. This research watched how art neducation in modern China had been progressed while considering such parts. Drawing educational theory based on realism of Xu Bei-hong was connected to focus on drawing education while playing a large role in Chinese modern artistic education, and used as means of advertising Chinese rule ideology. And Lin Feng-mian insisted absorption of Western progressive art trend to China, and contributed to strengthen today’s Chinese art education and fine arts accordingly. Modernization of Chinese traditional painting in the literary artist’s style having been adhered by Pan Tian-shou and Fu Bao-shi, home-grown painters, harmonized and developed Chinese art modernly, and approached it educationally as an idea of art which was contrary to stances of Lin Feng-mian and Xu Bei-hong. Though artistic education in the West and East was contradicted in its context from methodological․philosophical․ cognitive dimension, passion of many studying abroad having participated in New artistic movement was expanded to artistic circles of Beijing Arts College, Guangzhou Arts College, Zhejiang Teacher’s School, Hangzhou Arts College, and Zhongyang University etc from 1930s. This study intended to find out a fact that various artistic theories and artistic education ideas were started by longing for Chinese art education reform all together whether they transformed traditional art modernly or harmonized, developed modern advantages of the West.

목차

Ⅰ. 서 론
Ⅱ. 새로운 미술교육과 유학파
Ⅲ. 채원배(蔡元培)와 초기 미술 교육의 영향
Ⅳ. 노신과 초기 미술교육 행정
Ⅴ. 미술학교와 활동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준석(Chang Jun Seok). (2016).중국 근대미술교육의 형성 및 발전에 대한 연구. 미술교육논총, 30 (3), 171-192

MLA

장준석(Chang Jun Seok). "중국 근대미술교육의 형성 및 발전에 대한 연구." 미술교육논총, 30.3(2016): 171-19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