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학생의 ‘빗속의 사람(PITR)’ 그림검사에 나타난 학교생활적응에 관한 연구

이용수  686

영문명
Middle School Students’ School Life Adjustment in the PITR(Person in the Rain) Drawing Test
발행기관
한국미술교육학회
저자명
정영인(Chung, Young-In)
간행물 정보
『미술교육논총』美術敎育論叢 第30券 3號, 35~66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9.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빗속의 사람(PITR: Person in the Rain) 그림검사에 나타난 학교생활적응 수준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에 소재한 중학교 1, 3학년 274명에게 PITR과 학교생활적응 검사를 실시하였다. PITR의 분석기 준은 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자원, PDI(Post Drawing Inventory) 등 세 가지 지표로 나누어 설정하였고, 자료 분석은 t검정, 일원변량분석과 사후검정으로 Scheffé test를 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성별에 따른 중학생의 학교생활적응 수준을 비교한 결과 학교 수업에서는 남학생이 더 적응을 잘하고, 학교규칙준수에서는 여학생이 더 적응을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PITR에 나타난 학교생활적응 수준은 스트레스 요인에서 남학생의 경우 비의 양, 비의 모양, 바람의 세기, 구름의 유무, 구름의 면적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여학생은 비의 방향과 비와 사람의 접촉, 번개와 사람의 관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PITR의 스트레스 대처자원에 따른 학교생활적응 수준은 남학생의 경우 얼굴 모습, 얼굴 표정, 인물의 위치에서, 여학생은 얼굴 표정, 나체 인물상 유무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PITR의 PDI에 따른 학교생활적응 수준은 남학생의 경우 그림의 느낌과 사람의 기분, 여학생은 사람의 나이, 그림의 느낌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하여 PITR이 중학생의 학교생활적응 수준을 파악할 수 있는 도구로서 활용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school life adjustment using PITR drawing test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The PITR was given to the 274 middle school students including grade 1 and grade 3 in Gyongi providence. The research tools are based on stress, stress coping resources and PDI (post drawing inventory). The data were analyzed by t-test, one-way ANOVA and Scheffé-test as post-hoc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ale students are more likely to adapt class environment better than female students, but female students followed school policy better than male students. Second, male students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mount of rain, shape of rain, velocity of wind, presence of clouds and size of clouds in the PITR for measuring their causes of stress. Female students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irection of rain, contacts of rain and people, relationship between lightning and people. Also, for stress coping resources in school life adjustment, significant differences showed in the facial appearance, facial expression and location of people among male students and in the facial expression and presence of naked people among female students. Lastly, significant differences showed in the impression of picture and condition of people among male students and age of people in picture, and impression of picture among female students for measuring PDI in the PITR. Thus, this study suggests possibility that PITR can be a tool to analyze middle school students’ school life adjustment.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영인(Chung, Young-In). (2016).중학생의 ‘빗속의 사람(PITR)’ 그림검사에 나타난 학교생활적응에 관한 연구. 미술교육논총, 30 (3), 35-66

MLA

정영인(Chung, Young-In). "중학생의 ‘빗속의 사람(PITR)’ 그림검사에 나타난 학교생활적응에 관한 연구." 미술교육논총, 30.3(2016): 35-6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