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direction of art education through aesthetic experience of Whitehead: Focusing on the “rhythm of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서진아(Seo Jinah)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논총』美術敎育論叢 第30券 3號, 67~88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9.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공교육에서의 미술교육은 학생들에게 풍요로운 미적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학생들이 정서적인 안정을 가지고 사회가 가진 여러 가지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생들의 심미적인 정서 함양을 가능하게 하는 풍요로운 미적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공교육의 미술수업이 어떠한 모습이어야 할지 그 방법을 화이트헤드의 ‘교육의 리듬’과 ‘지각론’을 통해 찾고자 한다. 본 연구는 우선 화이트헤드의 유기체 철학에 담긴 리듬에 대해 이해하고, 미술수업에서의 ‘교육의 리듬’의 3단계(낭만단계․정확성의 단계․일반화의 단계)를 화이트헤드의 ‘지각론’을 근거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낭만단계를 활성화한 미술수업을 통해 학생들에게 미적 경험을 풍요롭게 할수 있다는 결론을 도출했다. 그리고 이러한 미술수업을 만들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활동이 일어나는 ‘장소’와 학생들의 ‘신체’를 미술수업 중요한 요소로 고려해야 하며, 이 두 가지 요소가 보장된 미술수업 환경은 ‘미술수업에 대한 교사의 인식 전환’을 통하여 학생들의 ‘신체 활동을 활성화하는 물리적인 환경’ 조성과 수업 과정 중에 학생들의 ‘신체 활동을 독려하는 교사의 소극적 태도’를 통해 가능할 수 있음을 제시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e art education in public schools should help students to overcome the various problems of the society and have emotional stability by providing a rich aesthetic experience(esthetical experience). Therefore, this study is to find the ways of the art classes of public education through the rhythm of education and perceptions of Whitehead in order
to provide rich aesthetic experiences that enables to cultivate aesthetic emotions of students.
Therefore, in this study, first the rhythm contained in the organism philosophy of Whitehead was understood and three stages of the “rhythm of education” such as the stage of romance, the stage of precision and the
stage of generalization in the art class were analyzed based on the perception Whitehead.
This has lead to the conclusion that the art class activating the stage of romance can enrich the aesthetic experience of the students. Thu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place’ taking place art class and body of
students should be considered as important factors in order to make these art classes. Also, it suggests that the art class environment ensured these two factors can be formed by “the physical environment to
activate physical activities” composed by students and “the passive attitude of teachers to encourage students’ physical activities” through “switching recognition of teachers” about art classes.
목차
Ⅰ. 서 론
Ⅱ. ‘교육의 리듬’을 통해 본 미적 경험
Ⅲ. 미적 경험을 위한 미술수업의 방향
Ⅳ. 결론 및 시사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바이오필릭 디자인을 적용한 테라리움 테이블 개발 연구
- 조립식 가구의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 의자, 스툴, 벤치 중심으로
- AI 기반 매개변수형 스마트 워크스테이션 디자인 - 프롬프트 개발을 통한 생성적 시뮬레이션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