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Impact of Learning Environment on Visual Arts Education of Middle and High School
- 발행기관
- 한국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정연희(JUNG, Yeonhee)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논총』美術敎育論叢 第30券 3號, 1~34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9.30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양질의 미술교육 경험을 학습자에게 제공함에 있어 학습환경적 요인이 갖는 의미와 중요성을 선행연구의 검토와 미술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인식조사를 통해 살펴보고 학습환경적 요인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미술교사들은 양질의 미술교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교수자 요인’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으며 ‘학습환경 요인’도 그에 못지않게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물리적 학습환경 측면에서는 작업공간과 교구나 재료 등이 제대로 구비될 필요가 있으며 무엇보다 시간적 요인이 양질의 미술교육을 가로막는 최대의 걸림돌이 되고 있는것으로 파악되었다. 문화적 환경요인으로서 학교 전반에 예술의 중심성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학교장 등 관리자의 인식 개선이 선행되어야 하고 학교 구성원들 간 소통의 개선과 협력적․배려적 관계가 구축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결론적으로 양질의 미술교육을 위해서는 보다 근본적인 요인인 학습환경의 중요성을 재인식해야 하며 물리적 공간과 재료의 진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교육당국의 중장기적 대책과 함께 적극적인 예산 지원이 필요하다. 특히, 양질의 미술교육에 필요한 최적의 수업시수와 시간편제 등 시간적 요인에 대한 논의가 오랜 기간 교육과정 차원에서 제한적으로 이루어져 왔고 미해결 상태이지만 시간의 충분성을 보장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이 경주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According to the survey findings, visual arts teachers conceive “teacher factor” to be the most important contributor to quality arts education, and “learning environment factor” to be the second important one. Among physical environment elements, visual arts teachers consider the physical spaces to be the most powerful pedagogical element. This is true, too, of arts supplies, because art is made from various materials and with many
different tools. And both research and teacher survey indicate that time is an essential ingredient in the soil in which artistic identity, sophistication, and accomplishment grow. Teachers complain that the lack of instructional time prohibits students to expand their artistic ambitions. To realize the centrality of arts in school, it is said that
school manager should improve his/her recognition of arts education, above all things. For this,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among stakeholders(school administrator, teacher, students and community leaders) has to be promoted.
목차
Ⅰ. 서 론
Ⅱ. 학습환경과 미술교육 간의 관계에 대한 이론적 검토
Ⅲ. 학습환경과 미술교육의 관계에 대한 미술교사의 인식
Ⅳ. 양질의 미술교육을 위한 학습환경 개선과제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바이오필릭 디자인을 적용한 테라리움 테이블 개발 연구
- 조립식 가구의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 의자, 스툴, 벤치 중심으로
- AI 기반 매개변수형 스마트 워크스테이션 디자인 - 프롬프트 개발을 통한 생성적 시뮬레이션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