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크라우드 펀딩을 활용한 사회 참여 미술교육 지도의 실제

이용수  940

영문명
Socially engaged art education using the crowd funding in the 6th grade
발행기관
한국미술교육학회
저자명
김세진(Sejin Kim) 손지현(Jihyun Sohn)
간행물 정보
『미술교육논총』美術敎育論叢 第30券 3號, 89~120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9.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미술이 가진 사회적 관심과 실천을 통해 삶의 문제에 공감하고 해결하려는 예술 교육의 일환으로 이루어졌다. 사회 참여 미술교육은 학생들이 변화의 주체로서 성장할 수 있도록 하고 미술을 바라보는 관점을 확장하도록 하며, 개인적 삶의 문 제를 넘어선 사회적 변화와 공동체의 가치를 지향한다. 이에 따라 타인을 고려하며 나눔과 배려의 교육적 목표를 위해 소셜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자금을 모금하는 크라우드펀딩(crowd funding)을 활용하여 미술활동을 기부와 연결시키고자 하였다. 미술의 사회적 성격과 실천을 중심으로 타교과를 연결하는 주제 통합적 교육 방안을 개발하여적용한 사례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타교과와의 통합으로 사회적 변화와 공동체의 가치를 추구하는 미술활동을 통해 삶의 문제를 해결하려는 실천적 측면의 교육이 이루어졌고, 둘째, 이미지와 정보 및 시각 매체를 활용하여 오프라인과 온라인소통을 추구하였으며, 셋째, 미술에 대한 인식 변화가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미술교육을 통해 삶과 사회에 의미 있는 변화를 이끌어 낸 실천적 사례로써 향후 관련 분야의 확산을 위한 시사점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Recently empathizing with global problems in our society, the art practice is vigorously rising to solve it through social actions of art. According to this trend, the demand for education for socially engaged art has also gradually increased in order to create a meaningful change in human life and society through art education. In this regard this study aims to see the educational effects of socially engaged art education, by developing and applying the teaching plan encouraging art education to contribute to social participation, based on crowd funding-raising activity, and analyzing the result. The results are the students expanded their consciousness on the concept of art and improved their ability for visual communication. Also the students developed their ability in creativity through connecting their knowledge and skills. Moreover, performing a role as a leading the community to a better direction through art activities related to the life and actual world, the students experienced interdisciplinary art curriculum with socially engaged art activities. This study has a significant meaning, as it implies the educational possibility of socially engaged art by suggesting future implications for social engagement through art education. Going forward, it is expected to be a motif of further educational changes of art with more in-depth studies and practical cases.

목차

Ⅰ. 서 론
Ⅱ. 사회 참여 미술과 미술교육
Ⅲ. 사회참여 미술 프로그램의 실행을 통해서 본 교육적 효과
Ⅳ.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세진(Sejin Kim),손지현(Jihyun Sohn). (2016).크라우드 펀딩을 활용한 사회 참여 미술교육 지도의 실제. 미술교육논총, 30 (3), 89-120

MLA

김세진(Sejin Kim),손지현(Jihyun Sohn). "크라우드 펀딩을 활용한 사회 참여 미술교육 지도의 실제." 미술교육논총, 30.3(2016): 89-12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