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습자의 문학교육 경험 연구
이용수 1,032
- 영문명
- A Study on Learning-reader's Experience about Literary Education
- 발행기관
-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 저자명
- 우신영(Woo, Shin-young)
- 간행물 정보
- 『교육연구』제65집, 7~43쪽, 전체 3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4.30
7,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문학교육 연구가 더 나은 문학교육을 위해 양질의 연구를 누적해가는 동안에도 학습자는 계속해서 문학과 인지적, 정서적으로 유리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간극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그동안 공백으로 처리되어 왔던 학습자의 실체와 욕구, 요구에 귀 기울일 필요가 있다. 나름의 문학교육 경험사(經驗史)를 보유한 학습자의 경험기술지를 분석함으로써 그들이 문학교육에 대해 갖고 있는 인식을 진단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등학교 문학교육을 경험한 예비 고등학교 3학년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문학교육 경험기술지 42편을 수합하고 이를 NVivo10으로 분석하여 향후 문학교육이 학습자와 맺어야 할 바람직한 관계의 방향을 모색하였다. 그 결과 총 3개의 범주-문제의식, 원인 분석, 대안 제시와 10개의 트리노드가 추출되었다. 먼저 학습자들이 문학교육에 대해 느끼는 문제의식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학교육으로 인해 문학에 대해 갖고 있던 호감이나 재미가 소실되었다. 둘째, 문학교육이 표방하는 목표와 실제 문학 교실의 모습, 평가의 목적과 실태, 교사들 간의 해석 및 교수 능력 차이 등으로 인해 심각한 불공정성을 체감하고 있다. 셋째, 학교 문학과 '나'의 문학이라는 이분법적 문학관을 갖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의 원인으로는 크게 인적 변인과 구조적 변인이 지적되었다. 첫째, 문학교과만의 정체성과 특수성을 인식하지 못한 채 기계적으로 수업하는 교사들의 태도, 둘째, 방대한 작품 수와 지식으로 인해 의미 없는 필기만 반복하는 수업 방식, 셋째, 시험이라는 하나의 귀결점을 향해 완벽하게 수단화된 문학 경험이 그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들로 크게 네 가지가 제안되고 있다. 첫째, 교과에 대한 교사의 애정과 열정, 둘째, 작품 자체가 아닌, 작품을 즐기고 이해하는 방법이 중핵이 된 수업, 셋째, 작품이 생산된 시대와 인간에 대한 이야기가 구술되는 수업, 넷째, 지식보다 문학 체험과 자유로운 반응이 선행되는 수업 등이 그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aspects of learning-reader's experience about literary education and to design a practical framework for Learner-Centered literary education. Meanwhile many academic discussion about Learner-Centered literary education have been accumulating. However that discussions cannot provide a proper opportunity for growth of real learner's competenc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is study analyze learning-reader's experience about literary education using actual 42 data. For concrete analysis, I adopt a method of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and use a NVivo10 as a software tool. In succession, aspects of learning-reader's experience about literary education are analyzed three category , , and 10 tree nodes. The following are learner's critical mind about literary education. Firstly, they lose half their interest in literature because of literary education. Secondly, they feel current literary
education is very unfair. Thirdly, they devide literature into school-literature and private-literature. The following are learner's cause analysis about these problems. Firstly, literature teacher work like a robot without identity as literature teacher. Secondly, learner always take down a lecture without literary pleasure because of overfull texts and fast progress in class. Thirdly, they feel that literary experience are degraded to the tool for examination. The following are learner's presentation of alternatives. Teacher's love for literature, methodical knowledge-centered literary class, many interesting stories about author and period related literary texts, and free literary responses before literary knowledge.
목차
Ⅰ. 문제의식
Ⅱ. 연구대상
Ⅲ. 학습자들의 문학교육 경험 양상 분석
Ⅳ. 요약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의 특징과 의미
- 학습자의 문학교육 경험 연구
- 뇌교육 기반 인성계발 통합프로그램이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 일제강점기 초등 ‘국사’ 교과서에서 ‘한국 강점 과정’ 서술 변화와 특징
- 직업계 고등학교 졸업자의 고교 전공 선택 유형과 고교 생활, 취업 간 관계 분석
- 지역 수준 도덕과 교육과정에 대한 비교분석
- 대안적 교사교육 접근으로서 반성적 실천주의가 갖는 함의 탐색
-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서술형 문항에 대한 응답 경향을 통해 살펴 본 중학생의 사회과 법 영역 성취 특성
- 인권교육에 대한 실험연구 동향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국악 공연장 감상교육이 예비 초등교사의 음악적 감성에 미치는 영향
- 초등 국악 교육 활성화를 위한 국악놀이터 앱 기능 개선 방안
- ARCS모형을 활용한 특수학생 대상 통합 음악교육 창극 수업 방안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